여수공장에 500억 들여 설비 증설
2021년 완공땐 연 1만3000t 생산
2021년 완공땐 연 1만3000t 생산

코오롱이 첨단 접착재 등 독자 기술 기반의 고부가 석유수지 사업을 확대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독자 기술로 개발한 HRR(High Reactive Resin·반응형 석유수지)을 비롯해 연 1만3000t 규모의 신제품 석유수지 생산설비를 여수공장에 구축중이라고 4일 밝혔다. 여수공장에 증설하는 첨단 석유수지라인은 2021년 1월 완공 예정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500억원이 투자된 이번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석유수지로만 연 7000억원 이상의 매출이 가능해져 글로벌 화학회사로서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전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번 설비 증축을 통해 HRR, 고순도 방향족계 석유수지 등 신제품을 생산한다.
코오롱 측은 "HRR은 내열성과 내구성도 탁월해 실란트, 타이어 등의 제품에 사용될 뿐 아니라 자동차용 접착제 등 고성능 산업용 접착제로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며 "특히, 자동차 타이어와 전장 분야가 주요 공략시장"이라고 전했다.
이번에 개발한 HRR과 고순동 방향족계 석유수지는 국내에서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유일하게 자체기술을 보유해 산업소재 국산화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차량용 타이어의 경우 접지력이 높아지면 연비가 떨어지는 특성을 보이지만 고순도 방향족계 석유수지를 사용하면 접지력과 연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게 코오롱 측 설명이다.
아울러,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번 투자로 2021년에는 여수공장을 포함, 울산공장, 대산공장 등에서 연간 총 20만t의 석유수지 생산이 가능해진다. 완공시 생산능력 30만t의 엑슨모빌에 이어 글로벌 석유수지 시장에서 2위 제조사 자리를 굳힐 전망이다.
박태준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업5본부장은 "HRR 등 새롭게 생산하는 석유수지 신제품들은 코오롱만의 오랜 기술력이 있었기에 개발이 가능했다"며 "갈수록 경쟁이 심해지는 글로벌 화학시장에서 고성능,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경쟁력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독자기술 개발로 석유수지 부문에서도 소재 국산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