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미세먼지 줄이려면 다앙한 발전방식 확대해야"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2.15 11:57

수정 2019.12.15 11:57

중국발 스모그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상태를 나타낸 11일 오전 서울 광진구 한강시민공원을 찾은 시민이 마스크를 쓰고 있다. 뉴시스
중국발 스모그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상태를 나타낸 11일 오전 서울 광진구 한강시민공원을 찾은 시민이 마스크를 쓰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세먼지의 계절이 돌아왔다. 국내 주요 미세먼지 배출원인 석탄발전소 가동 비중을 줄이면서 다양한 전력 공급방식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양한 방식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아직 원자력 발전 비중을 축소해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지난 11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 '제6회 미세먼지 국민포럼'에서 에너지 전문가들이 모여 다양한 방법과 문제점, 대안 등을 논의했다.


윤창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미세먼지로 국내 시설이 많은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 태양광, 바이오믹스 등 다양한 에너지원들이 서로 상생협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박상덕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수석연구위원은 "원자력 발전이 확대되지 않고서는 온실가스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정부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면서 부족한 전력 수급량을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하겠다는 것에 대해 미세먼지, 온실가스를 더 늘리겠다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말 국립환경과학원이 내놓은 동북아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연평균 초미세먼지의 국내외 기여율은 한국의 자체 기여가 51%, 중국 32%, 일본 2%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은 국내 전체 발전량의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18년 기준 OECD 회원국 평균인 25.4%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이유로 석탄화력발전의 감축 필요성에 공감했다. 하지만 지나친 감축에 따른 전력난 유발은 경계했다.

지난 8월 영국의 200㎿급 가스발전소가 정지하자 연쇄반응을 일으키며 주변 풍력발전소까지 멈춰버려 주변 수십만 가구가 피해를 봤다. 노동석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영국의 정전사태를 언급하면서 깨끗하고 안전한 전력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전력공급도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박지혜 기후솔루션 이사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최다 배출원인 석탄발전은 줄여야 하고, 사회적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환경세 도입 등 기존 세제·부과금 체제 개편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