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경, 화성 8차 사건 공방 격화…수사권 조정 앞두고 '샅바싸움'

이병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2.25 10:03

수정 2019.12.25 10:03

사진=뉴스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수사권 조정안 국회 통과를 앞두고 검찰과 경찰의 갈등이 '이춘재 연쇄살인 8차 사건'으로 확전되고 있다. 검찰이 직접 수사에 나서면서 '당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결과이 조작됐다'고 주장하자 경찰이 즉시 재반박하는 등 '수사 주도권'을 잡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른바 청와대의 '하명수사' 논란 등으로 불거진 검찰과 경찰 간의 갈등이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으로 옮겨붙은 것이다.

25일 검찰과 경찰, 정치권 등에 따르면 연말께 검·경 수사권 조정을 담은 형사소송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양측의 갈등도 첨예하게 대립 중이다.

검·경이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는 곳은 진범 논란을 빚고 있는 '이춘재 연쇄살인 8차 사건'이 대표적이다. 수사권 조정 등 패스트트랙 법안 합의를 마친 검찰은 지난 23일 재심 청구 의견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수원지검은 브리핑을 통해 국과수 감정서의 '재심 청구인의 음모'에 대한 분석값이 당시 진범으로 지목됐던 윤모씨(52)가 아닌 제 3자의 분석 결과를 임의기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경찰은 "(검찰이 제 3자라고 밝힌) 샘플이 윤씨의 음모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관련 샘플이 불상자라면, 그를 즉시 검거하거나 재감정하면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최근 검·경은 관련 사건에 대해 공개적으로 갈등을 벌이고 있다. 검찰이 관련 조사 내용을 밝힐 때마다 경찰이 발표를 부인하거나 반박하는 식이다.

이에 수사권 조정을 앞두고 수사기관이 서로의 과오를 알리고 이를 방어하는 다툼을 벌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민갑룡 경찰청장은 최근 간담회에서 "검·경 양 기관이 과오를 반성하고 협력해야지 그 과정에서 다투거나 할 일이 아니다"라며 에둘러 불쾌한 기색을 보이기도 했다.


반면 검찰은 "최근의 검경 갈등, 수사권 조정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bhoon@fnnews.com 이병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