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소방 헬기 운항관리사 확 늘린다

안태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2.02 17:16

수정 2020.02.02 17:43

착륙지 날씨 등 조종사에 제공
전국 소방본부 23명 채용 예정
민간경력 인정 지원자격 확대
작년 11월 3일 오전 경북 울릉군 한 해군부대에서 2019년 10월 31일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소방헬기 탑승자 2구의 시신을 대구로 이송하기 위해 헬기에 싣고 있다. / 사진=뉴시스
작년 11월 3일 오전 경북 울릉군 한 해군부대에서 2019년 10월 31일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소방헬기 탑승자 2구의 시신을 대구로 이송하기 위해 헬기에 싣고 있다. / 사진=뉴시스

올해 상반기부터 소방청이 헬기 운항관리사 인력 대거 채용에 나선다. 독도 소방헬기 추락 사고와 같은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자는 차원에서다. 운항관리사는 지상 상황실에서 착륙지 날씨, 중간 급유지 등 안전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헬기 안전 운항에 필수 인력으로 꼽힌다.


그러나 운항관리사는 현재 중앙 및 17개 시·도 본부에 단 19명뿐이어서 24시간 근무가 불가능하다. 수시로 뜨고 내려야하는 소방헬기의 특성 상 안전운항에 주요 걸림돌로 작용했다.

■독도 추락 때도 운항지원 못받아

2일 소방청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소방본부는 올해 소방항공 운항관리사 총 23명을 채용한다. 2015년부터 매년 각각 1명, 8명, 5명, 5명을 채용해 현재 총 19명의 운항관리사가 일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대규모 채용이다. 작년 10월 발생한 독도 소방헬기 추락사건으로 운항관리자의 부족한 숫자가 헬기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다.

운항관리사는 항공기의 관제사와 역할이 동일하다. 각 소방본부 상황실에 상주하면서 비행에 앞서 항로 상의 기상 조건과 착륙지 안전여부를 체크한다. 운항 중에는 조종사와 교신하며 필요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운항 도중 급유가 필요한 경우, 운항관리사가 중간 기착지의 급유 가능여부 등을 확인하고 연계해준다. 조종사가 온전히 운항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조종사 스스로 운항관리사 역할을 도맡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헬기를 조종하면서 휴대전화를 이용해 도착지 기상상황을 확인하거나 중간 경유지 관계자와 긴밀히 교신해야 하는 등 본연의 업무인 헬기조종에 집중할 수 없는 환경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독도 헬기추락 사고 때도 해당 헬기는 운항관리사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지원자격 확대…국민안전 확보

특히 이번 채용에는 종전 공공기관 경력자로 제한됐던 지원자격을 민간경력자까지 확대했다. 작년까지는 '공공기관 3년 경력'이 있어야만 지원이 가능했지만 작년 1월 소방공무원임용령에 '자격증 및 경력 2년'으로 자격사항을 명시해 올해부터는 민간경력도 인정된다. 국가·공공기관 운항관리 경력자가 부족한 탓에 인력 구인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야간 비행이 많고 비행·착륙 장소도 수시로 바뀌는 소방헬기 임무와 성격이 유사한 군대 운항관리 경력자들이 주로 지원해왔다는 것이 소방청의 설명이다. 지금 일하는 19명도 모두 군 출신이다. 현재 국가·공공기관 중 담당자를 두고 헬기 운항관리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는 기관은 '소방청·산림청·군대' 정도다.

소방청 관계자는 "출동이 잦지 않은 경찰, 해경 모두 조종사가 운항관리 업무를 하고 있다.
소방청 운항관리에 지원할 만한 자원이 군에 한정돼 있어 소방공무원임용령을 개정해 민간으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항공교통관제사, 운항관리사 자격을 보유한 2년 이상 경력자는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국토교통부의 2018년 12월 말 기준 통계에 따르면 항공교통관제사는 2453명, 운항관리사는 1408명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