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

50대 男 1인가구 가속화..."맞춤형 정책 필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2.03 15:27

수정 2020.02.03 15:27

기존 정상 가족 모델을 재검토해야
50대 男 1인가구 가속화..."맞춤형 정책 필요"

[파이낸셜뉴스] 지난 10년 간 중장년 남성층의 1인 가구화 현상이 부각된 가운데 이들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가구주·배우자·자녀를 중심으로 설계된 주거 복지 정책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국토연구원 박미선 연구위원은 3일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연령대별·성별 1인가구 증가 양상과 주거특성에 따른 정책 대응방향'을 통해 1인 가구의 특성을 반영해 주거정책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에 따르면 2008년 여성 중심(64%)이었던 1인가구는 2018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거의 절반(49%)을 차지하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특히 중장년 남성층에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박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남성 1인 가구는 2008년 94만4000가구(36.0%)에서 2018년 290만6000가구(49.7%)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여성 1인 가구는 167만7000가구(64.0%)에서 294만2000가구(50.3%)로 비중이 크게 줄었다.

10년간 남성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연령대로 보면 40대는 283%, 50대는 358%에 달했다. 박 연구위원은 "1인 가구 특성을 반영한 주거정책을 재설정하기 위해서는 취약·고위험 1인 가구의 기초실태를 우선 파악하고 중앙정부가 종합적인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편 가구 구조의 변화로 3·4인 가구가 급감하면서 1·2인 가구는 급증하고 있다. 1985년 6.9%였던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27.2%에 이어 2047년 37.3%(832만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2017년 31.4%에서 2047년 16.3%로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박 연구위원은 "2047년에는 1·2인 가구가 다수(72.3%)를 차지하게 될 예정"이라며 "기존 정상 가족 모델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은 또 4인 가구 중심으로 설정된 국민주택 규모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최저주거기준 미달 1인 가구를 위한 지원 방안과 공유형 주택을 위한 새로운 주거기준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