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코로나 사태, 신남방행 속도 높이란 신호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2.10 17:27

수정 2020.02.10 17:27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세계 경제도 휘청거리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10일 예정했던 중국 내 공장 가동을 다시 늦추기로 한 데서 읽히는 기류다. 현대·기아차의 모든 국내 공장이 멈춰선 것도 마찬가지 흐름이다. 중국 내 부품협력업체들이 이날 재가동된 만큼 조만간 현대·기아차도 생산이 정상화될 순 있겠지만, 정부와 재계 모두 이른바 '차이나 리스크'를 호되게 체감했을 법하다.

물론 세계 어느 나라도 신종 코로나 충격파에서 비켜나지는 못하고 있다. 중국이 값싼 노임과 원자재비를 기반으로 '세계의 공장'이 된 지 오래인 탓이다.
BMW와 도요타, 폭스바겐 등 세계 유수의 완성차 메이커들도 중국에 공장을 둘 정도라서다. 문제는 한국 기업들이 더 심대한 타격을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산 부품 공급이 끊기면서 촉발된 국내 자동자 업체들과 협력사들의 연쇄 셧다운만이 아니다. 화학·조선기자재·기계 등 여타 업종도 수출차질, 납기지연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어서다.

그래서 정부도 자동차 업계에 대한 지원에 나섰을 것이다. 중국 부품에 대한 물류·통관 시간 최소화 방침이 그 일환이다. 하지만 와이어링 하니스라는 중국산 부품 재고가 바닥나자 차 생산이 차질을 빚는 판에 임시방편일 뿐이다. 중국산 소재·부품에 대한 쏠림현상을 해소하는 게 근본적 해결책이다. 도요타 등 일본 기업들은 동남아로 부품 공급처를 다변화한 덕분에 이 와중에도 큰 생산차질은 빚지 않고 있다.

이번 코로나 사태는 중국 경제가 감기에 걸리면 우리는 독감을 앓는 구도에서 벗어나라는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 2010년 중국과 센카쿠(댜오위다오)열도 분쟁을 겪은 뒤 무역다변화와 제조업 유턴에 힘쓴 일본의 사례는 타산지석이다.
중국 정부가 외교·안보 문제에도 서슴없이 경제력을 무기로 주변국을 압박하는 데 주저함 없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 더욱 그렇다. '사드 보복'을 경험한 문재인정부 들어 중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진 건 아이러니다.
전체 수출의 25%, 수입의 21%를 중국에 기대는 상황에 자족할 게 아니라 '경제영토'를 넓히는 신남방정책의 가속페달을 밟을 때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