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

"스마트시티 성패, 공공 데이터 개방에 달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05 11:00

수정 2020.03.05 11:00

"스마트시티 성패, 공공 데이터 개방에 달려"

[파이낸셜뉴스] 스마트시티가 미래 도시 모델의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SW·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개방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국토연구원에서 나왔다.

국토연구원 허용 책임연구원은 5일 발표한 '정보통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간 데이터 개방·공유'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하면서 "개인의 위치정보와 공공이 제공하는 주소·도로정보를 결합해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허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시티 사업들은 정보통신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원천인 데이터를 구축·순환·거래·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방점을 찍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 중심 산업구조가 고착돼 중소기업과 벤처가 주도하는 SW 및 서비스 산업이 충분한 자생력과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그는 짚었다.
그러면서 영국의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허 연구원은 주장했다.

도시공간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이 해결하고 싶은 과제와 데이터를 개방하면 SW·서비스 업체 및 개인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솔루션을 개발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제도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현재 추진되고 있는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국토·도시·인프라 관련 국가정책들을 조율할 수 있도록 전담기관을 지정하고, 원칙에 따라 폐쇄형·공유형·개방형 데이터를 구분해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