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동/아프리카

레바논, 채무 12억달러 상환 불가, 9일 국가부도 위기

윤재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08 13:07

수정 2020.03.08 13:38

Lebanon's Prime Minister Hassan Diab speaks during a televised address to the the nation at the governmental palace in Beirut, Lebanon March 7, 2020. Dalati Nohra/Handout via REUTERS ATTENTION EDITORS - THIS IMAGE WAS PROVIDED BY A THIRD PARTY /REUTERS/뉴스1 /사진=
Lebanon's Prime Minister Hassan Diab speaks during a televised address to the the nation at the governmental palace in Beirut, Lebanon March 7, 2020. Dalati Nohra/Handout via REUTERS ATTENTION EDITORS - THIS IMAGE WAS PROVIDED BY A THIRD PARTY /REUTERS/뉴스1 /사진=

레바논 정부가 오는 9일(현지시간) 만기되는 달러 표시 채권 12억달러(약 1조4000억원)를 갚을 수 없을 것이라며 국가부도(디폴트)을 선언하게 될 것이라고 7일 발표했다.

레바논의 작은 경제 규모를 볼 때 디폴트가 신흥국가 등 다른 국가로까지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하산 디아브 레바논 총리는 “레바논은 유례없는 규모의 경제 위기를 맞고 있다”며 “병원들은 보급품 부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어떻게 해서 우리가 채권가들에게 상환을 할 것으로 기대하냐?”라고 말했다. 레바논 전역에 TV로 방영된 성명 발표에서 디아브 총리는 채권자들과 채무 구조조정을 위한 공정한 협상을 요구했다.

레바논은 12억달러 외에 오는 4월에 7억달러, 6월에 6억달러도 상환해야한다. 레바논의 공공부채 비율은 국내총생산(GDP)의 170%에 이르고 있다.
세계은행은 앞으로 인구 600만명인 레바논 인구의 40%가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레바논의 모라토리엄 가능성은 오래전부터 예견됐던 것으로 코로나19 확산과는 무관해왔다. 사태는 정부가 국내 은행으로부터 차입을 늘리면서 키워왔다. 레바논 은행들은 해외 레바논인들의 저축을 끌어들이기 위해 높은 금리를 적용해왔으나 국내 반부패 시위로 은행들이 휴업에 들어가고 투자자들이 외면하기 시작했으며 해외로부터의 송금이 바닥나면서 금융업이 마비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나페즈 조우크는 레바논 은행 자산의 70%는 해외에서 유입된 것이라며 이번 사태는 “부채와 통화, 은행, 경제, 재정 사태를 모두 합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레바논의 작은 경제 규모를 볼 때 디폴트가 다른 신흥시장국가로까지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레바논 특유의 뿌리깊은 부패와 고질적인 정치적 불안 등 국내적인 요인 때문이라는 것이다. 뱅가드그룹의 신흥시장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 닉 아이징거는 레바논 부도가 신흥국에 타격을 미치려면 코로나19과 관련된 더 많은 악재와 글로벌 GDP와 유가의 추가 하락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출기관들은 지난 2월부터 레바논의 디폴트를 예상해왔다. 은행들은 4개월전부터 출금과 해외 송금을 제한해왔다. 국제통화기금(IMF) 조사단이 레바논을 방문했으며 레바논 정부는 투자은행 라자드와 로펌 클리어리 코트리브 스틴 앤 해밀튼을 차입 관련 자문 업체로 지명했다.

레바논이 IMF의 구제금융을 요청할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 정부를 이란의 지원을 받는 시아파 무장단체 헤즈볼라가 이끌고 있어 테러 단체로 인정하는 미국의 반대 등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널은 다른 중동국가들이 2014년 국제유가 급락 후 차입을 늘렸으며 레바논처럼 미국 달러 대비 통화 페그제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아 금융위기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레바논은 화폐인 파운드화가 지난 10월 이후 가치가 40% 급락하면서 실업과 소요를 유발시켜 1975년부터 90년까지 이어진 내전 이후 안정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최대 리스크가 되고 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