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시설물이 밀집한 도시의 경우 자연 재해가 복합재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만큼 지역 맞춤형 도시 방재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토연구원 한우석 국가방재연구센터장은 9일 '도시복합재난 관리방안: 복합재난관리지도 구축 및 활용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한 센터장에 따르면 복합재난은 자연재해로부터 시작돼 사회재난으로 확산되는 것을 뜻한다. 대규모 사회적 피해를 유발시키며 장기간의 복구가 필요하다.
한 센터장은 복합재난 관리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시 활용해 안전한 도시를 구현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그러면서 복합재난을 고려한 도시방재 정책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및 활용에 관한 지침’ 개정과 복합재난 관련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복합재난 관리지도와 활용 가이드라인을 구축해 활용성을 강화하고 실효성 있는 지역 맞춤형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대책을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재해 예방형 도시 계획을 수립하고 도시방재플랫폼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 전문가와의 네트워크 강화도 필요하다고 한 센터장은 덧붙였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