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기업인 해외출장 보장은 정부의 책무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11 17:06

수정 2020.03.11 17:06

코로나19 사태로 우리 기업들이 국내외에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내수침체도 문제이지만 각국의 한국인 입국제한으로 해외진출 기업들의 애로는 더 심각하다. 베트남에 공장이 있는 삼성디스플레이 사례가 대표적이다. 기술자와 협력사 직원들의 발이 묶여 삼성스마트폰용 패널의 납기일정을 맞추지 못해 애태우고 있어서다. 기업들의 해외 비즈니스 통로를 확보하는 일이야말로 우리 외교의 급선무다.

코로나19가 국내에서 확산되면서 지금까지 110여개국이 한국인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했다.
이 중에 우리와 교류가 많은 나라들이 적잖다. 무엇보다 '우한 사태' 발발 초기 우리가 빗장을 걸지 않았던 최대 교역상대국 중국마저 뒤통수를 치고 나온 게 뼈아프다. 그사이 해외 생산라인이 흔들리고, 국내로 외국 사업파트너 초청길마저 차단돼 수주공백이 길어지면서 기업들은 비명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기업인들이 각국의 입국제한 조치를 받지 않도록 외교채널을 통해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당연히 외교부가 총력 대응에 나서야 한다. 최소한 기업인과 기술자들이 해외 생산현장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해주란 얘기다. 그렇게 해 기업이 치명적 피해를 입기 전에 숨통을 터준다면 그간 '코로나 방역외교'에서 흔들린 국민적 신뢰를 회복할 기회일 것이다.

다만 지금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우려되는 시점이다. 각국이 한국을 향해 내건 빗장을 열어달라는 요청에 쉽게 응할 리는 없다. 이럴 때일수록 투박한 외교를 지양해야 한다.
보건복지부가 아닌, 정부 부처 일각에서 출국하는 기업인 등을 위한 코로나19 '무감염 인증제' 등을 거론하고 있지만, 비과학적 대안으로 비친다. 음성판정을 받은 건강진단서로 진솔하게 상대국을 설득하는 게 외교적 후환을 막는 길이다.
그 대신 "현지 공장이 안 돌아가면 상호 피해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상호주의를 부각하는 스마트 외교를 펼쳐야 한다고 본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