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대학 연구실에서 1차 감별" 코로나 과부하 막을 방법 찾았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11 17:00

수정 2020.03.12 09:12

IBS 이창준 단장 연구팀
생물안전 2등급 시설 활용
검체채취∼판별 시간단축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국내 생물학 과학자들이 코로나19 음성 여부를 정부가 지정한 검사기관이 아닌 일반대학 연구실에서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방법을 이용한다면 동네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뒤 종합병원에서 정밀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처럼 현재 코로나19 검사기관의 업무 과부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전국 2500여곳의 대학 연구실에서 1차로 감별해 체내 바이러스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정식 검사기관에서 2차 판별을 하는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인지 교세포과학그룹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일반적 분자생물학 실험을 할 수 있는 생물안전 2등급 시설에서 빠른 시간 내 안전하게 코로나19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단장은 "정부당국이 이 진단방법을 활용한다면 생물학 대학원생도 충분히 검사할 수 있어 전국 대학 연구실을 이용해 진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국 대학 실험실 이용 가능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현재 6시간 걸리는 검사시간을 4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검사장소를 분산시켜 판별 대기시간도 줄일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등록된 전국 대학교 생물안전 2등급 시설은 최소 2500여곳에 달한다.

현재 운영 중인 코로나19 검사기관은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18곳, 수탁검사 13곳, 병원 79곳 등 총 115곳이다. 매일 2만건에 육박하는 확진 여부를 검사하느라 최종 결과가 빨리 나오기는 무리다.

이 단장은 "이 방법은 대학 실험실에서 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짜놨으며,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드라이브스루 하듯 채취하는 사람과 검사하는 인력이 비대면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빨리 음성 확인해 사회활동 가능

연구팀은 코로나19 무증상자들이 하루라도 빨리 음성 판정을 받아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돕고 싶다는 의지를 보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자료에 따르면 11일 현재 누적검사수는 22만2395건에 달하고 1만8000건 넘게 아직 검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중 양성 판정을 받은 비율은 3.8%뿐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정부당국에서 해당 장소를 폐쇄하고 방역을 실시하며 동시에 무증상자도 자가격리에 들어간다. 자가격리에 들어간 사람도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서 소비생활이 위축돼 국내 경제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임상적 판별 아닌 보조 역할"

그는 그러나 "우리 방법은 인체 내에 아주 적은 바이러스가 있고 없고를 확인하는 것이지 임상적 진단은 정부의 정식 검사기관을 통해 최종 판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즉 직접적 검사기관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활동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추출한 RNA를 분양받아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이 제시한 방법은 실시간 유전자증폭기술(rt-PCR)을 통해 cDNA로 변환한 후 음성 여부를 판단한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유전체에서 중요한 유전자 4개를 모두 들여다봤다.
이 방법은 코로나19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 특성에 대한 적극적 음성신호를 확인해 기존 방법과 달리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