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문대통령 'G20화상회의' 추진…방역선도국 부각·입국제한 해제 기대(종합)

뉴스1

입력 2020.03.16 12:09

수정 2020.03.16 13:42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9월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9월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뉴스1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G20(주요 20개국) '특별 화상정상회의'를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방역 대응 경험을 공유하며 국제사회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는 동시에 세계적인 경제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서다.

문 대통령은 G20 화상회의 제안 배경과 관련해 "우리의 감염병 대응 방법을 상대국이 원하면 공유할 목적도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각국이 경제 회생과 위기관리를 위한 국제공조가 있어야 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16일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구체적으로는 감염병 때문에 전면 입국제한을 하는 나라가 있어도 건강확인서를 소지한 기업인의 입국을 허용하는 문제 등을 G20에서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런 맥락에서 제안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13일 문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 정부가 투명하고 효율적인 방식을 통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있는 데 대해 경의를 표한다"며 "프랑스도 한국이 성공적으로 취하고 있는 조치의 우수성과 그 방식을 배우고 경험을 공유하고 싶다"고 공조를 요청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G20 차원의 특별 화상 정상화의를 제안했고 마크롱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다. 실천에 옮기도록 추진해보자"고 화답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문 대통령의 G20 화상회의 제안을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전날(15일)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에서 G20 화상회의 제안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 측은 "좋은 제안이다. G7 화상회의에서 이를 논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전날 캐나다와 독일, 브라질, 이탈리아, 호주 등 6개국 외교장관과 코로나19 관련 다자간 통화를 하며 방역 조치, 출입국 통제, 대응 계획을 공유했다. G20 화상회의 개최에 대한 협조도 당부했다.

16일 열리는 G7 화상회의 소집을 주도한 프랑스와 의장국인 미국이 G20 화상회의 개최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만큼 이르면 이달 내 열릴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청와대는 한국에서 코로나19와 관련 미국, 유럽 등 국가에 비해 방역과 치료 과정에서 더 많은 정책 결정과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만큼 이를 국제 사회와 공유한다면 전세계적 문제로 번진 코로나19 문제를 조기에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도움을 요청할 정도로 한국은 방역 상황이 많았다"며 "코로나19에 있어서 만큼은 한국이 세계에서 선도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실제 각국 외신들은 물론 미 의회에서도 우리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응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저희가 확인한 바로는 (한국의 방역 대응을) 높이 평가하는 외신이 압도적으로 많다"며 "외신이 투명성, 개방성, 민주적 절차라는 3원칙을 평가하고 있는 것 같다. 방역당국의 진단 능력을 평가해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G20 화상회의가 개최된다면 각국의 입국제한 조치로 인한 무역문제, 금융시장 혼란 등 세계적인 경제금융 위기에 관해서도 공동으로 극복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청와대 일각에선 G20 화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한국에 대한 각국의 입국제한 조치가 완화되는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각국 입국제한조치 해제를 강하게 밀고 나가는 것은 국제 관례에 맞지 않다"면서도 "한국의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해 방역체계에 관한 신뢰를 쌓으면 상대국에서도 입국제한 조치를 자연스럽게 풀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