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OPEC+ 회의, 美등 무소속 산유국의 감산 수용이 변수

윤재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09 13:09

수정 2020.04.09 13:09

FILE PHOTO: An oiil tanker sits anchored off DPF oil refinery and the ArcelorMittal's steel plant on the site of Fos-sur-Mer near Marseille, France, January 19, 2016. REUTERS/Jean-Paul Pelissier/File Photo /REUTERS/뉴스1 /사진=
FILE PHOTO: An oiil tanker sits anchored off DPF oil refinery and the ArcelorMittal's steel plant on the site of Fos-sur-Mer near Marseille, France, January 19, 2016. REUTERS/Jean-Paul Pelissier/File Photo /REUTERS/뉴스1 /사진=

오는 10일(현지시간) 열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기타 주요 산유국인 이른바 ‘OPEC+’ 화상회의를 앞두고 수요 감소에 따른 유가 하락을 막기 위한 감산 합의가 성사될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시장 점령을 위해 증산 경쟁을 벌여온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감산 합의 여부와 두나라로부터 감산 참여를 요구받고 있는 미국 등 다른 산유국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세계 석유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수요 감소와 공급 과잉, 올해 들어서만 50% 급락한 유가 등 지난 20년중 가장 불안한 상황을 맞고 있다.

이런 상황에도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 셰일석유 고사 작전으로 증산을 발표하고 러시아도 산유량을 늘리는 등 산유국들간 갈등도 커 이번 OPEC+는 당초 6일 개최 예정이었다가 연기됐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이달 글로벌 석유 수요가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달들어 초대형 유조선을 동원해 보통때와 비교해 7배 많은 원유 1400만배럴을 현재 미국으로 실어나르는 등 수출을 줄이지 않고 있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 예상되는 결과를 보는 시각은 엇갈리고 있다.
사우디 국영 석유업체 아람코 이사 출신으로 현재 정보분석업체 퀀펌 레저보어 임팩트 최고경영자(CEO) 난센 살레리는 현재 산유국들은 교착상태를 선택할 처지가 아니라며 합의는 시간 문제로 수주안에는 타결을 예상했다. 그는 “모두가 타격을 입고 있다”며 공급 과잉은 아무에게도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경제가 유가에 좌우되는 것을 감안하면 현재 이들 국가들의 시장 점령 전략은 지속되기에는 고통이 크다고 설명했다.

일부 외신에서 미국과 노르웨이, 캐나다, 멕시코 등 다른 산유국들의 감산 약속이 있어야만 OPEC+도 산유량을 줄일 것으로 보도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이미 산유량이 감소하고 있다며 시장에는 개입하지 않겠다는 백악관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CNBC는 미국의 석유 업체 대표들이 감산을 검토하기 시작하는데 주목했다. 미국의 경우 개발업체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달라 정부에서 감산을 요구하기가 쉽지 않지만 달라진 상황에 업계의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다.

RBC의 상품전략이사 헬리마 크로프트는 미국 석유 메이저인 엑손모빌과 셰브론이 설비투자를 30%를 줄일 예정이어서 셰일석유 생산지의 가동률도 떨어지면서 결국 미 산유량이 감소할 것이라며 OPEC에서 이것을 수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OPEC+ 회의에 이어 다음날에는 주요20개국(G20) 중 12개 나라 에너지 장관 회의가 열리며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미국 외 산유국인 멕시코, 캐나다, 브라질 대표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여기서 공급문제가 타결되고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하루 1000만~1500만배럴 감산, 즉 하루 공급량의 15%을 줄이는데 합의가 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그렇지만 문제는 시장 원리에 따라 감산되고 있다는 미국의 주장을 수용하지 않는 러시아의 태도가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