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코로나 쇼크’ 건설사 최대 7000곳 부실 위기 [코로나19 경제 비상]

박소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20 18:00

수정 2020.04.20 18:00

건설투자 3%↓·해외수주 21%↓
코로나 끝나도 자재값 급등 타격
‘코로나 쇼크’ 건설사 최대 7000곳 부실 위기 [코로나19 경제 비상]
코로나19 여파로 최대 7000개의 건설기업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재무건전성이 크게 낮아진 데다 코로나19가 조기 종식되더라도 공기 지연 등으로 인한 분쟁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20일 내놓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건설산업 영향과 대응방안'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건설투자는 3%, 해외수주는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대기업 부채비율 증가로 인해 한계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진은 올 2·4분기 이후 민간부문 건설투자가 감소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주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봤다. 해외건설이나 국내 대형공사를 주로 진행하는 대기업들은 수익성 악화 및 단기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빚을 늘릴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2018년 전체 10.4%를 차지했던 한계기업은 11~14%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건설기업이 약 5만개임을 감안하면 당초 5000여개에서 최대 7000개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 자금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들은 단기자금 부족 현상에 맞닥뜨릴 것으로 우려됐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높은 이자율과 낮은 대출한도로 충분한 자금조달이 어려운 구조다. 코로나19로 인해 대출수요가 급격히 몰려 중소기업들의 유동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의 부정적 파급영향은 시차에 따라 2·4분기 이후 집중될 것으로 연구진은 전망했다. 지난 3월 11일 기준 7개 건설현장 총 15명의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30여곳의 건설현장이 공사 중단된 상황이다. 연구진은 "공사중단 시 현장관리와 보전을 위한 비용과 공기연장에 따른 간접비 증가 등 유·무형 피해가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2·4분기 이후엔 경기침체 최소화를 위해 공공 건설투자는 증가하겠지만 민간 투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공사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자재 수요가 급상승해 공사원가 역시 상승할 것으로 우려됐다.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파급영향은 해외건설에서 더욱 크게 나타날 것으로 연구진은 판단했다. 연구원은 당초 280억달러로 예상됐던 해외수주 전망을 220억달러로 내려 잡았다.
연구진은 "중동, 아시아 지역 등에서 해외건설 수주 지연 및 취소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특히 주력시장인 중동의 경우 유가급락으로 인해 발주상황이 더욱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국내외 건설현장 모두 공기지연 및 공사원가 상승으로 인한 건설사와 발주자와의 치열한 분쟁이 예상된다는 점 역시 문제라고 연구원은 짚었다.


연구진은 "국내 공공계약 법령상 불가항력인 전염병의 적용범위가 불명확해 계약조정이 어려운 상태이고 해외 역시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