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與 지도부 잇단 무리수, 자충수 될 수도

장민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11 17:16

수정 2020.06.11 17:51

"공당 대표가 소속 의원들에게 함구령을 내리는 것도, 그렇다고 176명 의원 대다수가 한마디도 못하는 현실도 솔직히 보기 좋지 않다. 과연 건강한 당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나."

당 안팎의 각종 현안에 함구령을 내린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를 겨냥한 민주당 수도권 한 중진의원의 지적이다.

지난 5월 22일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낸 민주당 윤미향 의원의 정의연 이사장 시절 부실회계 및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유용 의혹으로 논란이 가열되자 이 대표는 "개별 의원들이 의견을 분출하지 말라"며 입단속에 나섰다.

이 대표는 불과 10여일이 지난 지난 3일 다시 함구령을 내렸다. 당내 소신파로 손꼽히는 금태섭 전 의원이 과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 표결 당시 기권표를 던졌다는 이유로 당으로부터 '경고' 징계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의 소신보다 당론을 우선한 당의 징계에 비판이 쏟아졌지만 함구령을 의식한 의원들이 현안에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런가 하면 사법적 판단이 끝난 사건을 다시 꺼내 의혹을 제기한 당 지도부의 무리수도 있었다.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는 지난 5월 20일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 도중 느닷없이 불법 정치자금 수수사건으로 대법원에서 2년 확정판결을 받고 복역한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강압수사와 사법농단의 피해자"라며 법원과 검찰에 재조사를 요구했다. 한 전 총리에게 뇌물을 준 고 한만호씨의 비망록을 근거로 검찰의 '위증 유도' 의혹을 제기한 한 언론의 보도를 거론하면서다.

회의 전 김 원내대표는 민주당 의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해당 보도를 거듭 거론하며 공개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겠다는 취지로 이야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의원은 파장을 우려하며 김 원내대표를 만류했다.
그럼에도 끝내 김 원내대표는 뜻을 꺾지 않았다. 대법원 판결까지 난 사안을 다시 들추면서 자칫 삼권분립 근원까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만만치 않다.


176석 거대여당 지도부의 행보를 국민들은 어떻게 받아들일까. 무리수는 스스로를 해치는 자충수로 돌아올 수 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정치부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