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개인정보 보호에 확진자 못 찾는 학교들, 발생즉시 ‘등교 중지’ 못해 집단감염 우려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11 17:22

수정 2020.06.11 17:22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단감염 사례가 계속되고 있지만 일선 학교들은 '등교 중지' 판단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모든 학급의 등교가 시작되며 학생이나 가족 중 확진자가 발생시 즉각 등교 중지 여부를 결정해야 하지만 정작 확진자 정보가 학교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학교들은 인근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할 때마다 가정통신문을 통해 확진자를 직접 찾고 있는 실정이다.

11일 일선 학교들은 등교가 재개된 만큼 집단감염을 막기 위한 확진자 조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를 방문했던 원묵고등학교 3학년 학생 1명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이후 2번 연속 음성 판정을 받으며 당국은 최종판정은 보류한 상태다.


문제는 집단감염이 발생할 때마다 학교 관계자들이 관련 학생과 학부모 찾기에 나선다는 점이다. 현재 확진자 지원 시스템으로는 학생이나 학부모가 학교에 방문하지 않는 경우 학교가 먼저 알고 대처할 수 있는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8일 서울 동작구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한바탕 소동이 일기도 했다. 인근의 SK브로드밴드 직원 중에서 확진자가 생기고 이튿날 추가 확진자가 나왔지만 학교 쪽에서는 등교 중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전혀 알 수 없었다. 학교는 급히 가정통신문을 만들고 학부모나 이웃 중에서 SK브로드밴드에 재직하고 있는 사람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전수조사를 했다.

신현욱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정책본부장은 "질본과 교육부 등에서 학교에 정보지원을 해야 하는데 개인정보에 막혀 제공을 못한다"며 "학교에서 가정통신문으로 확진자 접촉 학부모와 학생을 거꾸로 찾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실정은 대학도 마찬가지다.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사태 때도 대학들은 공지를 통해 클럽이나 일대를 방문한 학생은 반드시 선별진료소에서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요청했다. 실제 대학들은 교육부나 방역당국으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 소재 한 사립대학교 관계자는 "중국인 유학생 사태 때도 대학들이 정보제공을 요구했지만 자율격리 조치가 마무리 될 시점에 출입국관리소에서 정보를 주는 게 현실"이라며 "대학의 안전을 위한 선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결단을 내렸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