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방송 헤게모니 싸움에 등 터지는 시청자 [현장클릭]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08 17:45

수정 2020.07.08 17:45

방송 헤게모니 싸움에 등 터지는 시청자 [현장클릭]
200만 가구 이상의 케이블 시청자들이 17일부터 tvN을 보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CJ ENM과 딜라이브간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이 결렬, CJ ENM은 지난 6월 17일 13개 채널의 송출 중단을 통보했다.

주체가 바뀌었을뿐 방송송출 중단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2년엔 케이블TV와 지상파간 싸움이었다. 방송 플랫폼이 케이블 이외에도 IPTV와 모바일 등 다변화하면서 콘텐츠 사업자의 영향력이 점점 커져왔다.

과거 지상파는 보편적 시청권을 볼모로 압박을 가했지만 이번 사태는 CJ ENM이 콘텐츠 파워를 앞세워 방송 주도권을 거머쥔 상태다.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간 헤게모니 싸움에 피해를 보는 쪽은 시청자다.

발단은 CJ ENM이 딜라이브측에 공급하는 채널 프로그램 사용료를 인상하면서 비롯됐다. CJ ENM은 지난 3월 공문을 통해 프로그램 사용료를 20% 인상을 요구했다. 딜라이브에서는 통상적인 인상률과 비교해 과도한 인상요구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거절했다.

딜라이브는 그 동안 경영상황에 따라 프로그램사용료를 시청률, 채널 경쟁력 등 적절한 대가산정을 통해 매년 일정한 수준의 인상을 진행해 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CJ ENM 측은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은 꾸준히 인상했지만 우리는 지난 5년간 동결해왔다"며 부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양측은 사용료 인상과 관련해 합리적 수준으로 합의를 요청했다고 했지만 상대측이 협상에 임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다행히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협상테이블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CJ ENM과 딜라이브의 협상 중재에 나서 송출중단만큼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과기정통부의 중재는 실질적인 법적 구속력이 없다. 과기정통부에서 중재안을 내도 사업자가 받아들지 않는다면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디어산업의 구조가 급변해 일어난 상황으로 기존 시장논리에 맡겨둔다면 미디어 생태계는 붕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CJ ENM의 컨텐츠에 대한 제값받기 요구는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블랙아웃'이라는 카드를 들고 나왔다는 점이 안타깝다.
방송의 최우선 가치는 시청자의 권리다. 케이블사업자와 방송채널사업자 모두 시청자를 협상 볼모로 삼아서는 안된다.


이번 협상테이블은 시청자를 위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자리여야 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