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류·K방역 연계한 'K서비스' 수출 전략산업으로 띄운다

정상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13 17:58

수정 2020.08.13 18:24

코로나 여파 무역구조 급변
'K서비스'로 수출위기 돌파
2025년 10대 수출강국 목표
기업·시장·인프라 3대축 중심
3년 간 4조6000억 자금 공급
성윤모 "범부처 총력 지원"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뉴시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뉴시스
정부가 한국형 서비스(K-서비스) 수출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오는 2025년 서비스산업 10대 수출강국 도약이 목표다. 지난해 기준 16위다. 코로나19로 장기 침체한 수출 돌파구를 'K-서비스'에서 찾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서비스 기업에 대한 수출지원 특화 사업을 확대하고, 오는 2023년까지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 4조6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서비스산업 10대 수출강국 목표


1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이 같은 내용의 'K-서비스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무역·소비 트렌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마련한 서비스산업 특화 지원책이다. 그간 우리 무역은 상품교역에 치우쳐 성장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교역 감소, 신흥국의 제조업 성장 등 무역구조가 급변했고 서비스산업 수출화가 더욱 중요해졌다. 일자리·경제 성장에서 제조업 수출보다 서비스업이 효과적이라는 점에서다.

실제 올 상반기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은 438억달러로 전년 대비 17.9% 감소했다. 최근 5년간 상품 수출은 5000억~6000억달러에서 등락하고 있으나, 서비스 수출은 1000억달러 내외로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에도 못미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트렌드 변화와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전략 보강을 위해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 코로나19 대응으로 높아진 우리의 국격을 배경으로 서비스산업이 신수출성장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번 대책은 크게 세 가지로 기업·시장·인프라 3대 지원체계 혁신으로 요약된다. △디지털 수출 플랫폼 구축 등 기업들의 현장애로 해소 △K-브랜드 활용 등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제고 △제조업에 못지않은 수출인프라 구축이다. 이를 통해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 등 6대 K-서비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수출형 서비스산업 4조6천억 투입


산업부는 우선 서비스 기업에 대한 수출지원 특화 사업을 확대한다.

세계일류상품 선정 시,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의 선정기준을 완화한다. 바우처 사업에 기업이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설계할 수 있는 '기업제안형 서비스'도 신설한다. 서비스 기업 맞춤형 연구개발(R&D) 제도를 마련, 중견기업 매칭 비중도 크게 완화한다. 연구비에서 인건비 사용 범위를 제조업보다 확대하는 서비스 R&D 활성화 방안을 오는 10월까지 수립한다. 또 B2B(기업 간 거래)·B2C(기업·개인 간 거래) 수요자별 온라인 수출지원 플랫폼을 각각 구축한다.

서비스 기업의 특성을 반영해 금융 지원도 확대한다.

무역보험공사는 비대면 서비스 무역보험 한도를 최대 2배 우대하고, 서비스 중소·중견기업 보험료 할인 등 우대 지원을 연장한다.

자금 공급도 늘린다.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 오는 2023년까지 4조6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콘텐츠 제작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1조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도 오는 2024년까지 조성한다. 1000억원 규모의 'K-BIO 신성장 펀드 제6호'로 의료 서비스 해외진출 투자에 지원한다.

수출 실적이 없어 수출을 못하는 일이 없도록 정부가 공공수요도 활성화한다. 중소 서비스기업들에 테스트베드 기회를 제공하는 대기업에는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한류와 K-방역을 연계한 'K-서비스' 브랜드를 최대한 활용한다. 이귀현 산업부 무역정책과장은 "정부는 K-방역 패키지 수출 지원은 물론, 국제 의료서비스행사에 K-방역 관련 대규모 콘퍼런스 등으로 마케팅 시너지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바이오·헬스, 로봇, 드론 등 제조업과 비즈니스 연계를 강화한다.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패션·뷰티 유망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우수디자인·신기술 융합 글로벌 생활소비재도 발굴한다.

서비스 수출 인프라도 보강한다. 해외지식재산센터(IP-DESK)를 확대하는 등 현지 맞춤형 지식재산권 보호를 대폭 강화한다. 이 과장은 "중국·러시아와의 서비스·투자 협상 등으로 FTA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신남방·신북방 등 유망 시장에서 중점 서비스 분야에 대한 전략적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범부처 서비스산업 해외진출지원단 등을 구성, 민관 총력 지원체계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성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유발된 제조·서비스 융합,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등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제는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여부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