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친환경선박 늘리고 스마트항만 구축… 해양강국 새 미래 연다 ['한국판 뉴딜' 닻 올린 해양수산부]

이환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9.17 17:49

수정 2020.09.17 18:45

<上> 내년 예산 어떻게 쓰나
6조1440억 역대 최대 예산 편성
'스마트 블루 뉴딜'에 집중 투입
신산업 발굴·일자리 창출 팔걷어
친환경선박 늘리고 스마트항만 구축… 해양강국 새 미래 연다 ['한국판 뉴딜' 닻 올린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2021년 예산이 6조1440억원으로 올해보다 9.7%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증가율은 정부 전체 예산 증가율(8.5%)보다 높고 2013년 해수부 재출범 이후로도 가장 높다. 해수부는 이번 편성된 예산을 한국판 뉴딜의 일환인 '스마트 블루 뉴딜'에 집중적으로 쏟아부을 방침이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안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고 있는 해양수산업계와 종사자에 대한 지원 확대와 연안·어촌 활력 회복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며 "해양수산분야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한국판 뉴딜 사업을 중점 추진하고 해양바이오 산업 등 해양수산 신산업도 적극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수부의 '스마트 블루 뉴딜'


내년도 예산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수산·어촌 부문에 2조6558억원, 해운·항만에 2조1076억원, 물류 등 기타 부문에 9011억원, 해양환경 부문에 2657억원, 연구개발 예산에 7885억원이 편성됐다. 특히 수산·어촌, 해운·항만, 물류, 연구개발 등 대부분 분야에서 올해보다 예산을 10% 이상 증액 편성했다.


한국판 뉴딜은 크게 '디지털'과 '그린'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총 15개 사업이 추진된다. 첨단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스마트 해운'에 해수부식 친환경을 결합한 '블루 뉴딜'인 셈이다.

디지털 뉴딜 사업으로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항만디지털플랫폼 구축사업 △스마트 어항 유지관리체계 구축 △스마트 물류센터 건립지원 △스마트 해운물류 확산지원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청정어장 재생사업 등이 있다.

블루 뉴딜 사업으로 △친환경관공선 건조 △친환경선박 보급 촉진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개발 △친환경 어선 개발 △친환경 부표 보급 △해양폐기물 정화 △갯벌 복원 △CCS통합실증기반 구축 등이 추진된다.

블루 뉴딜, 친환경선박 전환


해수부는 내연기관 선박의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기존 선박을 액화천연가스(LNG)나 전기(하이브리드)연료 선박으로 전환하는 친환경선박 전환을 추진한다.

2025년까지 해수부가 관리하는 109척의 관공선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 완료할 계획이다. 올해는 15척의 관공선을 친환경선박으로 건조한다. 친환경선박은 기존 선박과 비교해 오염물질 배출이 30% 이상 적다.

해수부는 다른 부처 관공선과 지자체 선박은 물론 민간 선박의 친환경선박 도입·전환 촉진을 위한 보조금 사업, 기술 자문 등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올 1월 '친환경선박 전환 세부이행계획'수립의 후속조치로 친환경선박 도입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친환경선박 예산을 내년 1300억원으로 올해(156억원)보다 대폭 확대했다"고 말했다.

해양환경 녹색복원 예산도 올해(378억원)보다 2배 이상 확대한 786억원을 편성했다. 2030년까지 해양쓰레기 50% 저감을 위해 해양 침적쓰레기 수거사업 확대, 2025년까지 훼손된 갯벌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신규로 도입한다.

스마트 항만·물류·양식 시스템 구축


IT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항만·물류·양식 시스템을 구축한다. 먼저 해운항만을 기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한다. 29개 무역항의 지하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해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지능형 CCTV를 도입한다. 또 자율운항선박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신속한 대응으로 인명피해도 최소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류 시스템의 경우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물류센터를 구축한다.
내년 인천항을 시작으로 추후 부산에도 스마트물류센터를 조성한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고를 확인하고 위치추적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를 통해 약 1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연간 10억원의 물류비가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