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부울경과 경상동도… 고민 깊어진 울산

최수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05 18:09

수정 2020.10.05 18:09

[기자수첩] 부울경과 경상동도… 고민 깊어진 울산
부산·울산·경남의 메가시티를 두고 민간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추진이 시작됐다. 최근 해당 지역 상공회의소와 대학이 주축이 돼 동남권발전협의회를 출범시켰다. 민간이 주도하는 모양새지만 부울경 여권 정치권 의중이 담겨 있다고 봐야 한다. 대구와 경북도가 행정통합에 따른 대구경북 특별자치도를 추진하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앞으로 국토의 균형발전과 수도권과의 경쟁을 위해서 이들 지역뿐만 아니라 광주, 전남, 충청권까지 메가시티 논의가 확대될 조짐이다.

이런 가운데 울산지역 일각에서는 왜 울산이 '부울경'에 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도 시작됐다.
그 깊이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울산은 1997년 광역시로 승격되기 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경남에 속해 있었다. 그런데 거슬러올라가면 울산은 서라벌(경주)의 관문이자 해상무역의 중심지로서 사실상 신라 문화권에 속한다. 가야 문화권으로 분류되는 부산, 경남지역과 지리·문화에서 거리가 있다.

박정희 정권에서 중앙정보부장 등을 지낸 울산 출신의 이후락이 구상한 '경상동도(慶尙東道)'가 회자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당시 이후락은 고향 울산이 1962년 특정공업지구 지정과 함께 급성장하자 경북 경주·포항, 경남 양산·밀양 등을 포함시켜 광역행정구역으로 '경상동도'를 구상했다고 한다. 지난 2016년 6월 울산과 경주, 포항시는 고속도로 개통을 계기로 경제규모 95조원의 메가시티를 꿈꾸며 동맹을 맺었다. 이들 지역 일출이 유명해 '해오름 동맹'으로 이름을 지었다.

역사를 떠나 울산시민들의 셈법이 복잡해진 이유는 많다. 중심도시는 인구수로 좌지우지되는 만큼 정치, 경제, 문화, 교육은 부산으로 흡수되고 울산은 생산기지로 남을 수도 있다. 광역교통망까지 갖춰지고 있어 부산 쏠림 현상이 불가피하다. 때문에 부산경남, 대구경북과 맞서 '경상동도'라는 새로운 시도를 선택하자도 의견도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고민에 "어디에 속하더라도 그냥 살기만 좋으면 되는 것 아니냐"는 이견이 나오는 것도 현실이다.
메가시티 추진이 본격화되는 만큼 적지 않은 변화는 불가피하다. 이번 기회를 통해 울산시민들은 정치, 경제적 역할과 기여도에 부합하는 울산의 위상을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그래야 최종 결정에 후회가 없을 것이다.

ulsan@fnnews.com 최수상 정책사회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