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수소차 보급은 1위, 충전소 보급은 꼴찌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08 08:36

수정 2020.10.08 08:36

韓 수소차 보급 대비 인프라 부족 심각...日의 1/3, 美의 1/2 수준
수소 활용 부문 외 생산, 저장·운송 부문 기술 확보도 절실
수소차 보급은 1위, 충전소 보급은 꼴찌

[파이낸셜뉴스] 한국은 수소전기차, 연료전지발전 등 수소 활용 부문에서 앞서가고 있으나 수소 생산, 저장·운송 분야의 기술력과 충전소 등 인프라는 태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국내 수소 경제 현황과 과제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수소 경제 정책이 연구개발(R&D)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 확대에 집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소 경제는 미래 청정 에너지인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산업과 시장을 의미한다. 수소 경제의 밸류체인은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으로 구성된다.

수소위원회에 따르면 2050년 수소는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18%를 차지하고 4억대의 승용차와 2000만대의 상용차가 활용될 전망이다. 이는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약 20%에 해당한다.


시장 규모는 2조5000억달러(약 2940조원)에 이르고 3000만개에 달하는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이다. 한국도 70조원의 시장 규모와 60만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한국은 2019년 승용부문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가 4194대로 전 세계 1위이며 수소연료전지 발전량도 408MW로 1위다. 현대자동차는 세계 최초로 수소트럭 양산 체계를 갖추고 2025년까지 10t급 수소트럭 1600대를 스위스에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그러나 수소 산업 투자가 활용 분야에 지나치게 쏠려 있는 데다 기술력 역시 선도국에 비해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 세계 수소 경제 관련 특허 출원 중 한국의 비중은 8.4%로 약 30%인 일본 등 주요국에 비해 낮다. 또 높은 수소차 보급량에 비해 충전소가 일본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주요국은 수소 생산기술 개발, 해외 수입 등을 통한 수소 확보와 충전소,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유럽연합은(EU)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그린수소 개발에 집중하고 2030년까지 20~40GW 규모의 물분해 발전 시스템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일본은 2030년까지 호주, 브루나이에서 생산하는 수소를 수입하는 국제 수소수입망을 구축해 충분한 수소를 확보하는 전략을 세웠다.

미국은 풍력 발전 기반 수소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수소 인프라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후발주자인 중국도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4대 권역을 조성하고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한국 또한 수소 경제에서 속도를 내기 위해 지난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10월 수소 R&D 로드맵을 각각 수립하고 올해 2월 수소경제법 제정을 통해 수소전문기업 육성, 수소 확보를 위한 해외 프로젝트 발굴 등에 나섰다.

전경련은 한국이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을 구축했지만 수소 산업 생태계가 수소 활용 분야에 치중돼 있다며 생산-저장·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수소 활용 분야에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수소 확보와 인프라 구축이 필수"라며 "정부는 수소 생산, 인프라 부문에 대한 R&D 투자를 늘리고, 수소충전소 확충과 공공부문의 수소차 구입을 늘려 초기 시장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