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80% "자치단체, 코로나19 방역에 기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28 12:00

수정 2020.10.28 12:00

제8회 '지방자치의 날' 맞아 설문조사 진행
응답자 70.2%,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 공감 
[파이낸셜뉴스]

김순은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와 자치분권 대토론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김순은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와 자치분권 대토론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 10명 중 8명은 지방자치단체가 코로나19 방역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30년만에 추진되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7명이 공감했다.

지방4대협의체와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는 28일 이같은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방4대협의체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전국시군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다.

제8회 지방자치의 날을 맞아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자치단체와 지방의회의 역할, 권한 등 자치분권 관련된 내용을 물었다.



먼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수준을 묻는 문항에는 48.4%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자치분권이 강화돼야 한다는 주장에는 74.8%가 공감했다.

자치단체가 코로나19 방역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는 응답은 80.1%로 집계됐다. 분권위는 다수 국민들이 이번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자치단체의 중요성에 대해 실감한 것으로 해석했다.

코로나19 대응에 쓰인 자치단체 예산에 대해서도 62.4%가 '적절했다'고 응답했다. 자치단체 재정분권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74.4%로 높게 나타났다.

자치분권위원회 제공.
자치분권위원회 제공.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의 조속한 통과 주장에 대해서는 70.2%가 공감을 표했다. 현재 국회에 상정된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은 30여년 만에 추진되는 것이다. 지방자치제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주민자치권의 강화에 대해서는 83.6%가 찬성한다고 답해, 주민조례발안법 제정 등 법제화를 통한 주민 직접참여제도의 확대에 대한 국민 지지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정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의 사무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는 사무배분 원칙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83.8%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의회에 정책지원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것에도 응답자의 72.9%가 찬성했다. 자치단체 장이 행사하고 있는 지방의회 직원 인사권을 지방의회에 부여하는 질문에는 55.9%의 응답자가 찬성 의견을 냈다.

지방4대협의체와 자치분권위원회 측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의 권한 확대에 대해 국민이 확인·지지해 준 것"이라며 "국회에 상정돼 있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의 조속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