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일제에 빼앗겼던 ‘제주흑우’ 82년 만에 진위 논란 종지부

좌승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28 12:12

수정 2020.10.28 14:43

제주대 박세필 교수 연구진, 유전자·육질 분석 ‘제주흑우’ 품종 표기 확립
유통·소비단계서 한우로만 표기…‘제주토종’ 지위 회복 소비 활성화 전망
제주흑우 [제주대 제주흑우연구센터 제공]
제주흑우 [제주대 제주흑우연구센터 제공]

제주 흑우(黑牛) 진위 논란에 마침내 종지부가 찍혔다. 한우로만 표기되던 '제주흑우'가 본래 이름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간다. 제주 특산 토종 소 ‘흑우'의 지위를 회복한 것이다.

박세필 제주대 제주흑우연구센터장(분자생명공학부 교수)는 28일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전자와 육질 분석을 통해 유통·소비단계에서 별도의 표기가 없던 ‘제주흑우’의 품종 표기를 추진함으로써 제주흑우 산업화의 전주기 관리의 최종 단계인 유통 단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

■ 제주대·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제도 개선 공동 노력

제주흑우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삼명일(임금 생일, 정월 초하루, 동지)에 정규 진상품이었으며, 나라의 주요 제사 때 제향품으로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의 수탈과 말살정책에 억압된 아픈 역사를 갖고 있다.
1938년 일본이 한우표준법을 제정해 일본 소는 흑색, 한국 소는 적갈색(황색)을 표준으로 한다는 모색통일 심사규정을 제정하면서 제주흑우는 고유한 지위를 상실하게 됐다.

이어 1980년대 이후 육량 위주의 소 산업 정책 때문에 몸집이 작고 육량이 적은 제주흑우는 도태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28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박세필 제주대 교수.
28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박세필 제주대 교수.

다행스럽게도, 2004년 국제식량농업기구(FAO) 한우 품종 계통에 제주흑우가 내륙흑우·칡소·백우와 함께 공식 등록돼 명맥을 유지하게 됐으며, 2013년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지정됐다.

하지만 제주흑우는 그동안 도축증명서에는 제주흑우로 표기돼 왔으나, 장작 유통·소비 단계의 등급판정확인서에는 단순히 한우 또는 육우로만 표기돼 왔다.

이에 박세필 교수 연구팀은 제주흑우의 유전적와 육질 특성 분석 결과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에 제출해 유통·소비 단계에서도 제주흑우로 표기하도록 건의했다.

박 교수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지원으로 제주대 제주흑우연구센터가 출범한 이후 제주흑우 표기의 일관성이 관련 산업 발전에 필요하다고 판단해 유전자와 육질 분석 등 연구를 진행했고,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소비·유통 단계에 흑우 품종으로 표기되도록 개선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특히 “제주흑우가 일제 강점기 흑우에서 제외된 지 82년 만에 그 가치를 최종적으로 완벽하게 인정받았다”며 “제주흑우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져 소비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세필 제주대학교 교수가 28일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에서 제주흑우 품질 등급 제도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세필 제주대학교 교수가 28일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에서 제주흑우 품질 등급 제도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현재 생산자와 유통업자는 전산화 돼있는 ‘거래증명종합포털’ 시스템을 통해 ‘제주흑우’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제주흑우 명칭을 상품에 표기할 수 있게 됐다.

한편 박 교수는 우리나라 줄기세포 1세대 연구자다.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는 2008년부터 체세포 복제와 수정란 이식 기술 등을 통해 제주흑우 대량 증식 기반을 다졌으며, 생산에서 유통까지의 산업 전주기적 융·복합 기술을 개발해 관광산업과 어우러진 6차 산업화에 힘써왔다.

박 교수 연구팀은 특히 지난해 9월 치매, 즉 알츠하이머 질환(AD: Alzheimer disease)을 일으키는 유전자 3개(APP, PS1, Tau)를 가진 복제돼지 일명 '제누피그'(JNUPIG·Jeju National University Pig) 생산 관련 미국특허를 획득했다.


치매 복제돼지는 인간 치매 유발 유전자 3개가 동시에 발현되는 형질전환 복제돼지로, 이 같은 복제돼지 생산 기술은 전 세계 치매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기반기술이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