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쏟아지면서 확진자와 접촉한 자가격리자도 폭증하고 있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0시 기준 자가격리자는 전날 2만1075명 늘어난 누적 27만명을 돌파했다. 자가격리를 1회 이상 중복한 경우도 포함된 수치다.
서울 지역 자가격리자는 지난달 30일 1만9869명에서 지난 1일 2만418명으로 증가한 이후 매일 2만명 이상 발생하고 있다.
자가격리는 확진자와 접촉한 적이 있어 감염 위험이 높거나, 해외에서 입국한 경우 해당한다.
최근에는 확진자 수가 서울에서 6일 연속 매일 200명 이상 쏟아지고, 누적 확진자수도 1만명을 돌파하면서 확진자와 접촉해 자가격리되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 자가격리 대상자 2만1075명 중 접촉자는 1만1653명, 해외입국자는 9422명으로 분류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확진자 수가 늘어나는 만큼 접촉자도 많아지고, 자가격리 대상자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설 격리자는 이날 0시 기준 현재 총 515명이다. 호텔스카이파크 동대문(213명), 더리센츠호텔(195명), 호텔스카이파크 명동2호점(49명), 호텔스카이파크 센트럴명동(58명) 등이다.
시 관계자는 "자가격리는 주로 자택에서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시설 격리는 해외 입국자나 동거 가족 중 몸이 아픈 환자가 있는 경우 등에 한정해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가격리자는 감염 전파를 막기 위해 격리 장소 외에 외출이 금지되고, 독립된 공간에서 혼자 생활해야 한다. 또 가족과 동거인간 접촉도 금지하고 수건, 식기, 의복 등 개인 물품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1인 가구가 아닌 동거 가족이 있는 경우 거주지 내에서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자가격리 중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는 경우도 꾸준히 확인되고 있어 가족간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끊이지 않는다.
시 관계자는 "자가격리 중 증상이 있어 검사를 받아보니 확진 판정이 나오거나, 증상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도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판정 받는 사례도 있다"며 "자가격리 중 다른 가족이 있으면 증상이 없더라도 해제 전까지 최대한 조심해달라"고 당부했다.
자가격리 중 주거지를 무단 이탈하는 경우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서울에서 현재까지 총 355명이 자가격리 중 무단 이탈해 자치구로부터 고발 당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확진자수와 자가격리자 수가 크게 늘고 있지만, 다행히 자가격리 이탈자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며 "하루 평균 1~2명 정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근 부산에서는 보건당국 자가격리 조치를 무시하고 KTX를 이용한 20대 여성에게 벌금 500만원이 선고됐다. 제주에서도 격리기간 도중 마스크를 쓰지 않은채 편의점에 방문한 70대와 한라산 휴게소에 다녀온 50대가 각각 벌금 200만원을 물게 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