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잃어버린 1년, 경제 '잿빛 공포'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2.20 18:10

수정 2020.12.20 20:21

전세계 코로나와의 전쟁 1년 
올해 세계 성장률 -4.2% 예고 
최다 확진자 갈아치우는 한국 
22년만에 마이너스 성장 전망 
정부, 슈퍼예산 풀어 경기부양 
코로나19 발생 후 거의 1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3차 대유행이 현실화되면서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좀처럼 1000명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19일 서울 선릉로 강남구보건소에서 한 의료진이 고글을 고쳐 쓰면서 환자를 돌보고 있다. 사진=김범석 기자
코로나19 발생 후 거의 1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3차 대유행이 현실화되면서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좀처럼 1000명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19일 서울 선릉로 강남구보건소에서 한 의료진이 고글을 고쳐 쓰면서 환자를 돌보고 있다.
사진=김범석 기자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1년이 돼가면서 글로벌 경제의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정부가 우한에서 정체불명의 폐렴 환자가 발생했음을 대외에 처음 공개한 이후 세계 누적 확진자는 1년 만에 8000만명에 육박할 만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생산·소비 감소 등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4.2%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보는 등 잿빛 전망 일색이다. 한국 경제 역시 직격탄을 맞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0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는 1097명이다. 닷새째 1000명대를 이어가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국내에서는 지난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후 약 1년간 3차례 대유행을 겪으면서 폭증했다. 1차 대유행은 지난 2~3월 신천지대구교회가 중심이 된 대구·경북 집단감염, 2차는 8~9월 8·15 광복절 도심집회 및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집단감염이다. 3차는 11월부터 시작돼 수도권을 중심으로 일상 곳곳에서 조용한 감염이 특성으로,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다. 특히 확진자 증가와 함께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다.

올해 한국 경제는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역성장이 유력시되고 있다. 내년 상황도 녹록지 않다.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와 함께 내수침체로 내년에도 장밋빛 미래를 기대하긴 어려워졌다. 정부가 지난 17일 발표한 '2021년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미증유의 글로벌 팬데믹에 따른 극심한 대내외 경제활동 위축 등으로 -1.1% 성장을 예상했다.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한 해가 된다.

전염병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대내외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산업 전 분야가 부진을 면치 못했다.

국내총생산(GDP)은 1·4분기(-1.3%)와 2·4분기(-3.2%) 역성장을 기록하며 21년6개월 만에 최저치로 급하강했다. 이후 반도체·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이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이면서 3·4분기엔 2.1%로 부분적으로 반등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서비스업 부진은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민간소비가 지난해보다 4.3%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수부진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감소로 이어졌다. 코로나19가 확산된 지난 3월부터 지난달까지 누적으로 전년 대비 305만2000명이 감소하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는 올해 4차례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졌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계 통합재정수지 적자폭은 59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조6000억원이나 늘었다. 관리재정수지 적자폭도 90조6000억원으로 45조1000억원 늘었다. 정부는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3.2%로 설정했다.
연말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돼 내년 하반기 중 백신 상용화를 전제로 삼은 전망이다.

정부는 내년 558조원의 역대 최대 '슈퍼예산'을 바탕으로 확장적 경제정책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에 한국경제연구원은 입장문을 내고 "내년도 우리 경제는 올해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내년 세계 교역량 증가 기대로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하지만 민간소비 부진 지속, 반도체를 제외한 주력산업 수출경쟁력 약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성장둔화 등 경제 하방요인이 상존해 있는 만큼 내년 한국 경제에 대한 지나친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이진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