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더 깊어진 양극화에 'K자형' 회복세… 부동산 랠리 계속될 것 [한국경제 대진단 ― 전문가 92명에게 묻다]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1.03 18:21

수정 2021.01.03 18:21

전문가 70% "국내경제 올해 개선"
실물경제 최대 위협은 자영업자 위기…
'한계기업 확대'가 뒤이어
주택, 문제도 '공급' 해결도 '공급'
43%가 "올 집값 상승"…
해결방안으로는 대다수가 '공급' 꼽아
우리경제 한단계 도약하려면
규제개혁으로 민간부문 활성화…
'유동성 쏠림' 해소 주문도
더 깊어진 양극화에 'K자형' 회복세… 부동산 랠리 계속될 것 [한국경제 대진단 ― 전문가 92명에게 묻다]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 우리나라 실물 경제의 가장 큰 위협으로 자영업자 위기를 꼽았다. 그럼에도 70%에 가까운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가 지난해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결과적으로 올해 한국경제가 양극화 패턴을 이루는 K자형 회복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주택 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실물경제와의 괴리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의 규제 혁파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3일 파이낸셜뉴스의 '2021년 한국경제 전망 설문'에 따르면 한국 실물경제의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총 92명 중 32명(37%)이 자영업자의 위기를 꼽았다.
한계기업 확대(29명, 31.5%), 내수 위축(24명, 26.1%)이 뒤이었다.

중소기업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내수침체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도 예측된다"고 지적했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내수 경기 악화로 한계 상태에 다다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많다"며 "정부의 금융 지원으로 '좀비' 상태로 유지하고 있지만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이 될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경제전문가 10명 중 7명은 우리나라 경제가 소위 '보릿고개'를 지났다고 평했다. 68.5%인 63명이 올해 한국 기업의 실적을 지난해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와 유사할 것에는 22명(23.9%), 악화에는 7명(7.6%)이 투표했다.

많은 경제전문가들은 지난해 마이너스 성장을 한 만큼 올해는 기저효과를 누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경기 회복의 수혜 업종이나 기업의 온도차가 심해질 전망이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지난해 수요 급감으로 인해 중소, 내수 기업 중심으로 실적이 급감했으나 올해는 기저효과와 수출 개선과 내수의 완만한 회복에 힘입어 기업 실적이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최근 부채가 늘고 사업 전망이 악화된 기업들이나 자영업자들은 사업 존망과 관련된 심각한 시험에 직면하는 등 기업별, 업종별 실적 차별화가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수출 기업의 수출 회복력이 도드라지고 있어 경기 회복이 기대된다"며 "향후 백신 투여 이후 내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물경제의 가장 큰 축은 주택이다. 문재인 정권 이후 주택 가격의 폭등세는 거세졌다.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도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92명 가운데 43명(46.7%)이 올해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33명(35.9%)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불과 14명(15.2%)만 지난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정책 약발이 올해에도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공급'을 핵심 지표로 거론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관계자는 "내년까지도 실제 수요가 높은 양질의 주택이 대규모로 공급될 계획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기존 주택에 대한 높은 수요가 지속돼 주택가격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다. 한 관계자는 "현재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가 바닥까지 떨어졌다"며 "단기간에 국민들의 신뢰를 다시 얻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다만 강력한 부동산 정책이 거듭돼 시장에 영향을 끼칠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가 지속되고 다주택 보유 어려움에 따른 매수세가 지연되고 있다"며 "점차 부동산 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문제 해결 방안도 '공급'으로 꼽았다. 46명(50%)의 전문가가 '3기 신도시 등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시기 단축'을, 51명(55.4%)이 '임대주택 공급 정책 강화 및 조기 시행'을 촉구했다. 모두 공급 확대와 관련된 대책이다.

최근 '동학 개미' 열풍이 불고 있는 주식 시장에 대해서는 낙관론이 다수를 차지했다. 응답자 가운데 52.2%(48명)가 올해 주가 상승을 전망했으며 하락을 점친 전문가들은 9.8%에 불과했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한국 증시의 구조적 변화(성장주 주도)로 인해 매력도가 상승했다"며 "글로벌 증시 대비 가격과 밸류에이션 저평가 해소 구간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올해 한국경제 도약을 위해 규제 혁파 등을 주문했다.
KDI국제정책대학원 관계자는 "규제개혁을 통한 민간부문 활성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계기업에 대한 출구 전략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로 넘쳐나는 유동성 확대가 자산시장이 아닌 투자 등 실물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게 집중된 코로나 충격의 비대칭성과 최근 부각되는 불평등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정책 에너지를 집중해야 한다"며 "기후변화협약 본격화나 주요국의 자국 중심주의적 정책 추진 움직임 등 글로벌 경제환경의 불확실성 심화를 고려해 내수 기반 확충과 기술, 환경 생태계 혁신을 적극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