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민간+공기업 수소투자 봇물...무한경쟁 본격화

이환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1.21 16:24

수정 2021.01.25 10:56

[파이낸셜뉴스]

현재 건설 추진 중인 액화수소플랜트 현황
지역 국내기업 외국기업 규모 연간생산량
울산 효성 린데 36t 1만3000t
삼척 효성 린데 30t 1만1000t
경기 SK 플러그파워(미정) 90t 3만t
창원 두산중공업 에어리퀴드 5t 1800t
평택 한국지역난방공사 에어프로덕츠(미정) 30t 1만1000t
(2021년 1월 기준으로 외국기업은 협상에 따라 가변 )

민간기업에 이어 공기업까지 수소시장에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면서 무한경쟁이 본격화됐다.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주년을 맞아 오는 2월 중 수소경제 로드맵 2.0을 발표할 계획이다. 1차 로드맵이 수소차와 충전소, 수소 연료전지 확대 등의 비전을 담았다면 수소경제 로드맵 2.0에서는 그린수소(물분해 수소)와 액화수소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담길 계획이다. 정부가 정책을 통해 판을 깔아주면서 민간 및 공기업의 투자를 유인하는 모양새다.

■효성, SK, 두산 등 액화수소 진출 러쉬
액화수소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기체수소에 비해 저장효율이 뛰어나고 별다른 공정이 필요 없이 기화만으로 즉시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 자체 기술이 없어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원천 기술을 보유한 수소 업체들과 국내 대기업의 업무협약과 조인트벤처 등을 통해 액화수소플랜트 건설이 추진 중이다.


대표적으로 효성은 지난해 4월 울산시와 린데코리아와 함께 30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1일 최대 생산량은 약 36t규모로 연간 1만3000t의 수소를 생산해 단일 설비로는 세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오는 2022년 완공이 목표로 현재 수소 1kg 가격이 8000원인 점을 고려하면 연간 1000억원의 매출이 발생할 전망이다.

효성 중공업 관계자는 "린데와 조인트 벤처 설립을 위한 계약 막바지 단계에 있다"며 "생산된 수소는 정부가 보급하기로 한 대형차 위주로 공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효성은 강원도, 린데와 함께 삼척 지역에 약 30t 규모의 액화수소 저장클러스터 건설 사업도 추진 중이다. 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국책사업으로 정부 예산도 약 2000억원 정도 투입된다.

두산중공업은 경상남도 창원국가산단 내 두산중공업 부지에 약 5t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을 추진 중이다. 프랑스 에어리퀴드사와 두산중공업이 합작하며 2023년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할 계획이다.

SK는 경기 지역에 미국 수소 연료전지 기업 플러그파워(미정)와 90t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을 추진 중이다. 공기업으로는 최초로 한국지역난방공사가 평택에 30t 규모 플랜트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액화수소 기술이전, 국산화는 과제
전세계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넷제로'를 선언함에 따라 글로벌 수소 경제 규모도 급격히 커질 전망이다. 미국 컨설팅사 맥킨지는 2050년까지 글로벌 수소시장을 2900조원으로,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1경400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국내 수소는 석유화학 공정 부산물인 '부생수소'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정부는 LNG에서 추출한 개질수소를 거쳐 장기적으로 블루수소(개질 수소 과정에서 나온 탄소를 포집·저장·활용), 그린수소(물분해 수소)로 전환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2030년까지 개질수소 30%, 블루수소와 그린수소 70% 비율을 달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한계가 있는 만큼 부족한 그린수소의 경우 해외 수입을 통해 충당할 계획이다.

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수소·연료전지 PD는 "2050년에는 해외에서 도입하는 그린수소와 국내 생산 그린수소,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블루수소가 공급량과 경제성에 맞춰 적절하게 비중을 이룰 것으로 전망"한다며 "다만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토 유효 면적 등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한 그린수소 생산에 제약이 있다. 또 블루수소 생산 후 나오는 이산화탄소 저장을 위한 지정학적 한계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외국 기업들과 합작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액화수소 플랜트를 건설해도 향후 원천 기술 이전, 주요 부품의 국산화를 위한 연구 개발도 필요하다.

효성 중공업 관계자는 "현재 액화 수소 저장 용기, 콜드 박스(액화기) 등 대부분의 주요 부품은 유럽 등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국내 기업들과 기술 개발을 통해 국산화 비율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 PD는 "현재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수소액화플랜트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라며 "대기업과 함께 LGN탱크 제작업체인 크리오스, 대웅ct, 세진중공업 등이 액화 수소 저장용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