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코로나 블루’ 넘어 ‘코로나 레드’로..사회 전반에 부정 정서 만연 (종합)

조용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02 14:29

수정 2021.02.02 14:29

코로나19 이후 활동 변화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코로나19 이후 활동 변화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는 한국 사회에 전반적인 부정 정서를 확산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온라인을 통해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일상 변화 조사’를 실시했다.

다수의 응답자가 ‘걱정과 스트레스’(78.0%), ‘불안과 두려움’(65.4%), ‘짜증 또는 화’(60.8%), ‘분노 또는 혐오’(59.5%) 등의 감정을 코로나19 이전보다 많이 느낀다고 응답했다. 우리 사회가 우울함의 단계인 ‘코로나 블루’를 넘어 분노의 단계인 ‘코로나 레드’로 넘어가고 있다는 우려에 근거를 제공하는 결과다.

그러나 국민은 앞으로의 사회를 전반적으로 낙관했다. ‘우리 사회는 어떤 어려움도 결국 극복할 것이다’(63.6%), ‘우리 사회는 더 나은 사회가 될 것이다’(56.7%), ‘나는 재난 상황에서 잘 대처할 것이다’(54.4%)와 같은 문항에서였다.
우려도 있었다. ‘혐오와 차별이 증가할 것이다’(66.9%), ‘사회 구성원 간 격차가 커질 것이다’(63.0%), ‘개인의 자유가 제한될 것이다’(56.0%)에 과반 이상의 응답자가 그럴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팬데믹으로 외부활동은 감소하고 재택 활동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일상 생활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물어본 결과 가장 많이 감소한 활동은 여행(85.1%), 공연·예술·극장 영화 관람(83.3%), 오프라인 사교 활동(81.5%) 등이었다.

반면, 미디어 이용(70.3%), 온라인 쇼핑(63.2%), 직접 요리(58.3%)는 크게 늘었다. 대면 학습이 감소(44.6%)한 대신 원격 학습이 증가(47.2%)한 데서도 재택 중심의 일상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량은 크게 늘었지만 종이신문 이용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를 이용할 때 어떤 매체·기기를 사용했는지 물어본 결과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스마트폰(78.9%), 텔레비전(68.5%), 개인용 PC(65.7%) 이용량이 증가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다수였다. 반면 종이신문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자는 23.2%로, 증가했다는 응답자 17.6%보다 5.6%포인트 많았다.

서비스 차원에선 넷플릭스·왓챠플레이 같은 OTT 서비스 이용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65.5%)으로 조사됐다. 이어 포털(63.7%), 유튜브 등 1인 미디어 플랫폼(62.5%), 종편·보도채널·PP(57.8%)가 뒤를 이었다. 지상파 채널 이용량을 늘렸다는 응답자는 46.6%이었다.

콘텐츠 차원에서 살펴보면 뉴스 이용자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는 사실에 주목할 만하다. 72.2%의 응답자가 뉴스 콘텐츠 이용을 늘렸다고 답했다. 뒤를 잇는 예능(55.8%), 드라마(53.8%)와 최소 16%p 이상 차이가 확인됐다.

코로나19 정보를 얻는 주요 경로는 ‘포털과 TV’였다. 전염병 관련 정보를 얻을 때 어떤 매체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 신뢰하는지, 도움이 되는지 물은 결과 포털과 텔레비전을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정부·지자체 사이트는 이용한다고 답한 응답자(13.2%)는 적었지만 신뢰(30.2%)하고 도움이 된다는(31.5%) 응답자는 많았다. 종이신문은 응답자의 8.3%만이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답하는 등 주요 경로로 확인되진 않았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언론사, 가장 많이 신뢰하는 언론사가 어디인지도 물었다. 1~3순위를 합산해 상위 15개 사를 추린 결과 방송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한국 언론은 저널리즘 본연의 역할을 어느 정도 잘 수행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풀어야 할 숙제 또한 확인됐다. ‘언론은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라는 물음에 59.5%가 ‘그런 편’, 9.3%가 ‘그렇지 않은 편’이라고 답했다. ‘전문가 의견을 적절하게 전달했다’(긍정 48.5%, 부정 12.2%), ‘나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줬다’(긍정 44.7%, 부정 16.0%)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를 바로잡는 데 기여했다’는 항목엔 긍정 평가(31.2%)와 부정 평가(26.8%)가 갈렸고, 코로나19 정보를 얻을 때 느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비슷한 뉴스가 필요 이상으로 반복된다’(73.3%), ‘허위정보 및 오정보가 많고’(51.3%), ‘신뢰할만한 정보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9.6%)는 응답도 많았다는 사실에 주목할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는 코로나19 정보 이용 효능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는 코로나19 관련 필요한 정보를 잘 찾을 수 있다’는 문항에 대해 60.1%가 긍정한 반면 5.7%만이 부정적으로 응답해 54.4%p의 차이가 확인됐다.

‘정보를 활용해 필요한 조치를 스스로 취할 수 있다’에 대한 응답 또한 긍정(56.6%)과 부정(8.0%) 응답 차이가 컸다.
그러나 ‘허위정보와 오정보를 구별할 수 있다’에 대한 응답은 긍정(35.7%)과 부정(19.1%)의 차이가 16.6%포인트로 이용자 편차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