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대출 또 막힐라, 일단 받아놓고 보자" 한달간 1조6000억원 늘었다

윤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02 17:41

수정 2021.02.02 18:31

빚투 열풍에 가수요까지 몰려
전체 가계대출잔액 4조원 늘어
코로나 여파 기업대출도 증가세
"대출 또 막힐라, 일단 받아놓고 보자" 한달간 1조6000억원 늘었다
올해 들어 주요 시중은행들이 신용대출 빗장을 풀면서 개인신용대출 잔액이 증가세로 전환해 1조6000억원가량 늘었다. 억눌렸던 대출 수요가 폭발했고, 오는 3월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방안 등으로 대출이 또 다시 막힐 수 있다는 판단 하에 미리 받아두려는 수요가 겹쳤기 때문이다.

■빗장 풀리자 신용대출 반등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35조2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133조6482억원)보다 1조5918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해 11월 말 133조6925억원까지 치솟았다가 12월 443억원 줄어들면서 11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금융당국의 규제와 총량 관리 압박 등으로 은행들이 일제히 대출 문을 걸어 잠근 영향이다.
그러나 새해 들어 대출 빗장이 풀리자 다시 반등했다.

은행권에서는 억눌렸던 대출 수요 외에도 오는 3월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가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필요하지 않더라도 '일단 받아놓고 보자'는 심리가 커졌다는 것이다. 최근 증시 활황으로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도 급증했다.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674조3737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2198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증가 규모(3조1824억원)보다 1조원 가량 더 늘어난 수치다. 이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은 최근 3개월간 470조원 선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주담대 잔액은 476조3679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583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매월 4조원대 증가 추이를 보이다가 증가폭이 둔화된 것이다.

고강도 가계부채 대책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지만, 당국이 의도한 대로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흘러가지는 않는 모양새다. 신용대출로 빌릴 수 있는 한도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마이너스통장은 고신용자라 하더라도 신규 개설시 최고한도가 5000만원까지 반토막 났다.

이런 가운데 은행들은 다시 대출 조이기에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3일부터 '쏠(SOL)편한 직장인 신용대출'과 '공무원 신용대출'의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기존 1억원에서 5000만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신용대출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심사도 강화한다. 본부 심사 대상 기준이 기존 DSR 50% 초과에서 3일부터 40% 초과로 확대된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9일 마이너스통장 대출 상품의 최대 한도를 기존 8000만원~1억원에서 5000만원으로 줄였다. 수협은행은 지난달 22일 직장인 대상 'Sh더드림신용대출' 상품 중 마이너스통장 신규 대출을 아예 중단했다. 같은 날 카카오뱅크는 마이너스통장을 비롯해 고신용 직장인 신용대출 상품의 한도를 1억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낮췄다.

■대기업·중소기업 대출잔액도↑

코로나19 장기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 잔액도 증가세를 유지했다. 지난 달 5대 은행의 대기업 대출 잔액은 79조9362억원으로 전 달(78조3357억원) 보다 1조6005억원(2.04%) 증가했다. 지난 해 같은 기간 증가액(1조7398억원)과 비교해보면 소폭 줄었지만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 달 중기대출 잔액은 455조5030억원으로 전 달(451조9171억원) 대비 3조5859억원 늘었다. 중기대출 잔액 증가액도 지난 해 같은 기간(3조228억원)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금융권에서는 올해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대출 수요가 꾸준하겠지만 급증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연말 회계결산을 위해 대기 자금으로 대출을 상환하고 연초 기업활동이 시작되면 다시 차입금을 늘린다"면서 "지난해 초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자금 경색을 우려한 기업들이 연초부터 차입금을 크게 늘렸지만, 올해는 (지난해처럼) 급격히 차입금을 늘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경영활동에 따라 점진적으로 대출금이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jyyoun@fnnews.com 윤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