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지금 안하면 영원히 뒤처진다, 인도·태국도 경쟁 합류 [글로벌 리포트]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14 18:01

수정 2021.02.14 18:01

세계시장 강력한 선두 없는 상황
유럽은 배터리 산업 키우기 나서
인도의 전기차 충전소/바이두 뉴스 캡쳐
인도의 전기차 충전소/바이두 뉴스 캡쳐
【파이낸셜뉴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미국과 중국의 양분되는 추세지만 유럽이나 아시아 등도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전기차 산업이 출발 단계이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지금부터 뒤쳐질 경우 향후 쫓아가야할 추격 거리도 벌어지기 때문이다.

우선 인도는 중국 못지않게 대기오염이 심각한 국가로 꼽힌다. 인도 중앙정부와 10여개 지방정부는 이런 불명예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찌감치 전기차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도 재무부는 e-버스 분야 보조금 지원으로 5년 동안 6억달러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 수도 뉴델리는 2024년까지 전기차의 총 등록 차량 점유율을 25%까지 끌어올리고 연내 버스 50%를 e-버스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지난해 8월 제시했다.
마하라슈트라는 전기차 정책 발표 5년간 도로세와 등록세를 면제해주며 역내 주유소에 전기차 충전소 설치를 필수 사항으로 규정했다.

인도의 특징 중 하나는 주로 인력을 이용한 이동수단인 릭샤 산업이다. 인도 정부는 이 산업에도 친환경을 결합해 e-릭샤 교체 산업을 진행 중이다. 인도의 e-릭샤 시장은 연평균 15.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도 150만대가 운행 중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도 전기차 시장에 투자하는 글로벌 기업도 증가 추세다. 올라 일레트로닉은 e-스쿠터 제조공장 설립을 진행하고 ETO모터스 등도 전기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태국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태국은 작년 3월 '국가 전기차 정책위원회'를 발족하고 전기차 로드맵을 천명했다. 여기엔 내년까지 정부기관·공공버스·전기 오토바이 등 6만~11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하고 2030년엔 총 자동차 생산량의 30%를 전기차로 채운다는 방침을 담았다. 자립갱생 차원에서 전기차 관련 프로젝트 승인을 받으면 3~8년간 법인세를 면제해주며 생산 외에 연구개발(R&D)에 투자할 경우 법인세를 추가 면제 받을 수 있다. 전기차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해 미국 GM공장을 인수한 중국 장성자동차와 테슬라의 생산투자 유치에서 공을 들이고 있다고 온라인 매체 더 스탠더드는 보도했다.

유럽은 자체적인 전기차 개발과 함께 배터리 산업에 주력하는 모양새다. 전기차는 아직까지 원가의 40%를 배터리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세계 리튬이온 배터리셀의 89%는 아시아가 차지한 상황이다.
유럽연합(EU)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2017년 'EU배터리 연합'을 출범시켜 독자적인 배터리 산업생태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마켓워치는 독일의 시장 분석업체 마티아스 슈미트의 보고서를 인용, 지난해 주요 유럽시장에서 신규 등록된 전기차는 133만대로, 중국 125만대를 앞질렀다고 밝혔다.
또 올해는 전기차 비중이 작년 12.4%에서 15.5%로 3.1%포인트 상승해 191만대가 신규 등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