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사회

WHO, AZ 코로나 백신 승인...세계 백신 부족 이제야 풀리나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16 15:17

수정 2021.02.16 15:18

지난 14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촬영된 코로나19 백신들. 오른쪽부터 아스트라제네카(AZ), 모더나, 화이자의 백신.로이터뉴스1
지난 14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촬영된 코로나19 백신들. 오른쪽부터 아스트라제네카(AZ), 모더나, 화이자의 백신.로이터뉴스1


[파이낸셜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의 코로나19 백신에 사용 허가를 내주면서 그동안 선진국의 백신 쟁탈전에 끼지 못했던 개발도상국도 백신을 구할 길이 생겼다. 마비상태였던 코백스(COVAX)가 AZ 백신 덕분에 정상 작동한다면 세계 각국에서 한국 및 인도산 AZ 백신을 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산 AZ 백신 승인
WHO는 15일(현지시간) 발표에서 AZ와 영국 옥스퍼드대학이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ChAdOx1-S)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다. WHO는 해당 백신을 위탁생산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와 인도 세럼연구소의 제품을 각각 승인하며 두 제품이 사실상 같은 백신이지만 다른 공장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별도의 승인 과정을 거쳤다고 밝혔다. WHO는 지난해 12월 31일에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만든 코로나19 백신에 첫 번째 사용 승인을 내줬고 이번이 두번째다. 앞서 WHO의 전문 자문단은 AZ 백신의 면역 효과가 63.09%라고 확인했으며 18세 이상 성인이라면 연령과 상관없이 접종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7월 AZ와 백신의 원액과 완제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맺은 뒤 경북 안동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AZ로부터 1000만명분의 코로나19 백신을 구입한 한국 정부는 계약 분량 전부를 안동 공장에서 공급받을 예정이며 오는 24일부터 1차 인도분(75만명분)을 받는다. 첫 접종은 오는 26일부터 시작된다.

코백스는 이번 승인 덕분에 회원국에게 AZ 백신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코벡스는 지난해 7월 WHO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의 주도로 탄생한 백신 공동구매 연합체로 한국을 포함해 190개국이 참가하고 있다. 당초 코백스에 참여하지 않았던 미국은 지난달 정권 교체 이후 참여 의사를 밝혔다.

■개발도상국도 백신 구할 수 있어
코백스는 지난해 말부터 화이자나 미국 모더나 등이 잇따라 코로나19 백신을 내놓았지만 백신 물량을 확보하지 못해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자국 제약사가 개발한 백신을 선점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들은 전령리보핵산(mRNA) 기술을 사용해 극저온 보관이 필수적인 만큼 관리가 어렵고, 개발도상국에서 사용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AZ 백신은 상온(2~8도)에서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가격 역시 1회분에 4달러(약 4410원)로 화이자(약 2만2042원)나 모더나(약 3만5267원) 백신에 비해 훨씬 싸다. 다만 AZ 백신의 면역 효과는 화이자(95%)와 모더나(9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3가지 백신 모두 2회 접종해야 면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의하면 지난달 20일 기준 코백스가 계약한 백신 물량은 27억9000만회분으로 이 가운데 법적 강제력이 있는 계약분은 13억1000만회분이다. 해당 물량에서 7억2000만회분은 AZ 백신이며 5억5000만회분은 아직 출시되지 않은 미 노바백스의 백신이다. 화이자 백신은 4000만회분에 불과하다. 코백스는 이달 발표에서 올해 상반기 안에 전 세계에 3억3720만회분의 백신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올해 안에 20억회분을 배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문제는 효능 논란이다.
핀란드는 70세 미만, 독일·프랑스·오스트리아·스웨덴·노르웨이는 65세 미만, 폴란드는 60세 미만, 벨기에·이탈리아는 55세 미만에게만 AZ 백신을 접종하라고 권고했다. 스위스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승인 자체를 보류했으며 미국 역시 AZ 백신에 사용 승인을 내어주지 않았다.
해당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AZ 백신의 임상시험에 고령층 자료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