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찰청이 개학철을 맞아 시내 어린이보호구역의 안전을 대폭 강화한다. 경찰은 서울시와 함께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시설을 확대 설치하고, 통학로 노상주차장을 제거하는 등 사고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1일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4년 간 총 209개 시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259건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초등학교에서 204건(154개 보호구역)이 발생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2건 이상 사고가 발생한 초등학교 주변 교통사고 유형으로는 '운전자 부주의'가 90%(81건)으로 대다수였다.
경찰 관계자는 "운전자 시인성을 방해하는 불법주정차를 근절하고, 보호구역임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시설물 개선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경찰청은 서울시와 어린이보호구역의 시인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서울형 어린이보호구역 표준모델'을 확대 운영한다.
표준모델은 △도로를 암적색으로 포장해 운전자 시인성 확보 △불법 주·정차 단속 강화 △이면도로 노상주차장 정비 등이 핵심이다.
경찰은 키가 작은 아이들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차량에 가려 돌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초등학교 정문 주 통학로를 절대 주정차 금지구간으로 지정했다.
유치원 등 나머지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해서도 안전도 평가 및 주민 의견수렴을 통해 확대설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노상주차장은 지난해 학교 앞 주 통학로 48개소(417면)을 전면 제거했다. 올해도 어린이보호구역에 남아있는 노상주차장 93개소(1389면)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예정이다.
또 경찰은 어린이보호구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사고 발생률이 높은 초등학교를 교통사고 발생 건수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해 관리한다.
사고 유형에 따라 위험요소를 정밀 진단해, 위험도가 높은 장소부터 우선적으로 시설물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경찰은 어린이보호구역 내 노란 신호등과 LED표지판을 설치해 운전자가 보호구역임을 즉각 인식할 수 있도록 시설물을 개선 중이다. 노란 신호등과 LED표지는 현재 시내 보호구역에 각각 131개소, 414개소에 설치돼 있다. 경찰은 오는 19일까지 어린이 보호구역 일제점검을 실시해 통학로 주변 보도 및 방호 울타리를 보강하고, 과속방지턱·횡단보도 신설 등 차량 속도를 낮출 수 있는 시설개선을 지속할 예정이다.
장하연 서울경찰청장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민식이법) 개정에 따라 운전자의 책임도 무거워진 만큼, 아이들 뿐 아니라 운전자도 보호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호구역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는 즉시 정지할 수 있도록 서행하고, 불법 주정차는 절대 삼가해 달라"고 당부했다.

bhoon@fnnews.com 이병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