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업계 최초 '다양성' 리포트 발간


[파이낸셜뉴스] 넷플릭스가 2018년과 2019년 미국에서 공개한 126편의 영화와 180편의 TV 시리즈 중 유색 인종의 여성감독, 시리즈물의 여성 크리에이터 비율이 매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독 주연과 공동 주연, 주요 출연진의 흑인 배우 비율도 업계를 상회했다.
4일 넷플릭스가 USC 애넌버그 포용정책연구팀과 함께 엔터테인먼트 업계 최초로 다양성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 공동 최고 경영 책임자이자 최고 콘텐츠 책임자인 테드 사란도스는 이번 리포트 발간에 맞춰 “훌륭한 이야기는 배경과 문화를 뛰어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어디에서나 사랑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며, ”우리 스스로가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되짚으며 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초석을 놓은 만큼, 향후 넷플릭스는 물론이고 업계 전반에 다양성이 만들어내는 변화의 바람이 보다 커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권위를 지닌 USC 애넌버그 포용정책연구소(USC Annenberg Inclusion Initiative)의 창립자이자 디렉터인 스테이시 L. 스미스 박사와 함께 진행됐다.
젠더(gender), 인종, 민족성, 성 소수자, 장애 등 22개 항목의 다양성 지표를 활용해 연구했다. 2018년과 2019년 미국에서 공개된 126편의 영화와 180편의 TV 시리즈 작품을 대상으로 출연진을 비롯해, 크리에이터, 프로듀서, 작가, 감독 등 제작진들의 구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다양성은 19개 항목에서 매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색 인종의 여성감독, 시리즈물의 여성 크리에이터 비율이 매년 높아졌고, 흑인 배우 비율도 업계를 상회했다.
반면 미국 인구 대비 라틴아메리카계, 중동·북아프리카계, 아메리칸·알래스카 원주민, 하와이 원주민의 출연 비율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LGBTQ 커뮤니티와 장애를 가진 등장인물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 출연 비중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넷플릭스는 앞으로 “미화 1억 달러 규모의 창작발전기금을 조성해 향후 5년간 투자하고, 다양한 외부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 산업에서 소외된 전 세계 인재들을 발굴 및 훈련하며 일자리를 제공하는데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2026년까지 매 2년마다 다양성 조사를 지속하고, 미국 외 전 세계 국가로 연구를 확대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넷플릭스는 2013년 ‘하우스 오브 카드’,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등 TV 시리즈 제작 이후 영화와 다큐멘터리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인물과 문화를 카메라에 담아왔다. 한국에서는 여성 코미디언 사상 국내 최초로 넷플릭스 스탠드업 코미디를 선보인 ‘박나래의 농염주의보’, 두 여성 크리에이터인 정세랑 작가와 이경미 감독이 참여한 ‘보건교사 안은영’을 선보였다. 올해 공개 예정작엔 다국적 출연진이 등장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트콤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등이 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