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2+2회의는 중국 대항 아니라, 군사동맹 강화 의제

【베이징=정지우 특파원】미국이 아시아에서 동맹을 끌어들여 중국을 포위하려 하지만 한국은 미국의 전략에서 ‘약한 고리’가 될 것이라고 중국 매체가 평가했다. 한국이 정치·경제적으로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판단의 배경이다.
18일 관영 환구시보의 영문판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전날 방한 직후 서욱 한국 국방부 장관을 만나 “북한과 중국의 전례 없는 위협으로 한미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중국 매체는 서 장관이 중국을 언급하지 않고 강력한 대북 억제력과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변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국이 중국을 공개적으로 거론하지 않은 것은 일본과 달리. 중국 포위를 위한 동맹에 거리를 둘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한미 외교·국방 장관이 참여하는 ‘2+2 회의’는 중국에 대한 대항이 아니라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군사동맹 강화가 가장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지융 푸단대학 북한·한국 연구센터 주임은 “한국은 중국을 포위하는 미국 주도 아시아 동맹에서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다”면서 “한국의 관점에서 보면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아시아 전략은 한국의 이익을 고려하지 못했고 한국은 중국의 도움 없이 해결할 수 없는 여러 구조적 딜레마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다즈강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원 동북아연구소장은 바이든 정부가 북한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취하면서 연합훈련을 부각한 것이 한국을 수세적 위치로 몰았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더욱 거리를 두고 한반도 문제 대응에서 중국 쪽으로 더 기울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구시보는 지난 17일 오스틴 국방장관의 ‘전례 없는 위협’ 발언에 날선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 매체는 ‘또 중국 모독’이라는 제목을 달며 불쾌감을 표현했다.
환구시보는 이날 서울에서 열린 미국 고위급 방한과 관련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미국의 한미동맹 강요 반대 시위를 여러 장의 사진으로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도 했다.
글로벌타임스는 같은 날 미국과 일본이 외교·국방(2+2) 회담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 의지를 드러내자, “근거 없는 비난”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