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강남시선

[강남시선] ESG 경영 우등생으로 가는 길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3.28 18:00

수정 2021.03.28 18:00

[강남시선] ESG 경영 우등생으로 가는 길
연초부터 국내에서 너도나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도입하겠다고 난리다.

사실 예전부터 ESG경영이 대세가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준비가 시급하다는 시그널은 끊임없이 있었다. 최근 ESG경영 바람은 어떻게 보면 그동안 안이했던 숙제를 다급하게 몰아치는 유행병과 같다.

지난해부터 갑자기 불어닥친 ESG 바람의 트리거는 단연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기업 투자결정 과정에 ESG를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행보를 꼽을 수 있다. 이들이 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통해 ESG경영에 배치되는 기업들을 투자 블랙리스트로 넣으면서 ESG경영 압박의 결정타가 된 것이다.

한국에서 ESG경영 도입이 뒤늦게 발동 걸린 배경도 짚어봐야 할 대목이다.


화석연료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낡은 노동, 지배구조에 대해 국내 기업들도 변화의 필요성을 느껴왔다. 그러나 새로운 ESG 패러다임으로 전환은 막대한 비용이 발생한다. ESG가 글로벌 대세론이 되기 전까지는 기존 구조를 유지하면서 적당한 비용만 지불하는 게 합리적 선택이었던 셈이다.

마찬가지로 ESG를 주도해온 유럽 선진국의 전략적 기만술에 대한 불편한 시선도 있다. 환경파괴와 인권말살을 기반으로 자본주의 성장 수혜를 누려온 유럽 선진국이 환경과 사회 이슈를 내세워 후발 개도국의 추격을 가로막는 진입장벽으로 사용한다는 게 대표적이다.

문제는 위 두 가지 불편한 진실보다 우리 기업들의 안이한 현실인식이 ESG경영 도입을 가로막아왔다.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사업모델로 성장 방정식을 짜놓고 이익을 꾸준히 만들어내는 캐시카우를 만들어놨다. 앞으로 더 뽑아낼 이익이 많은 안정적인 사업모델을 폐기하거나 대전환해야 한다는 게 기업 의사결정권자 입장에선 큰 모험이 아닐 수 없다. 기존 화석연료와 신재생연료 중심의 산업 패러다임을 놓고 벌어지는 주도권 경쟁이 정점에 달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이젠 우리의 의지와 무관하게 ESG 경영은 시대적 대세론이 됐다.

크게 환경과 사회책임 그리고 지배구조 등 세가지 분야에서 고르게 높은 수준에 도달해야 선진적 ESG경영 반열에 오를 수 있다. 국어, 영어, 수학 가운데 한두 과목만 잘한다고 될 일이 아니란 뜻이다. 환경분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구조 간 충돌의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탄소세에 대한 소극적 저항은 ESG경영 속도와 배치된다. 사회적 약자의 권익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존중도 단순한 주변변수가 아니다. 지배구조 개선은 말할 것도 없다. 그동안 간과돼 왔던 비재무적 기준에 고르게 맞춰야 ESG도 성공한다. 바로 정합성의 문제와 직결된다.

이런 면에서 우리나라 ESG경영 문화는 초보단계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거부하거나 늦추는 카드는 없다. 남은 선택지는 받아들이거나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ESG 도입 행태는 방어적 성격이 강하다. 어쩔 수 없이 부랴부랴 기준에 맞춰야겠다는 성급함이 담겨 있어서 방어적이라는 말이다.
방어적 경영은 당장 닥친 문제를 개선하는 데 그친다. 적극적 공격적 ESG경영을 펼쳐야 글로벌 산업패러다임 변화에서 선두권에 안착할 수 있다.
ESG경영은 벼락치기 공부로 달성할 수 없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경제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