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구본영 칼럼] 녹색거품 키우는 에너지 정책

구본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3.29 18:30

수정 2021.03.29 18:30

태양광이 한계 드러내자
올해 해상풍력으로 돌진
무모한 돈키호테 보는 듯
[구본영 칼럼] 녹색거품 키우는 에너지 정책
세계 증시에서 '그린 버블(녹색거품)' 불안감이 고개를 들고 있다. 친환경·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가치가 과도하게 부풀려졌다는 인식이다. 최근 미국 텍사스주의 이상한파로 풍력발전이 마비된 게 결정타였을까. 얼마 전 파이낸셜타임스(FT)에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자산은 '미친 듯이' 과대평가됐다"는 전문가의 전언이 실렸다.

정전사태를 빚은 텍사스주는 세계 최고 수준의 풍력 잠재력을 갖고 있다. 그래서 탄소배출을 줄인다며 풍력을 늘려 왔다. 그런데 날씨에 따른 간헐성이 변수였다.
즉 바람이 안 불 때를 백업하기 위해 가스발전 비중도 높여야 했다. 다행히 텍사스는 셰일가스가 풍부해 얼핏 보면 선견지명으로 비쳐졌다.

하지만 이례적 한파로 둘 다 무용지물이 됐다. 가스관도 풍력터빈도 모두 얼어붙어버리면서다. 그나마 원전 3기는 가동돼 블랙아웃(대정전)은 면했다. 미국 50개주 중 유일한, 텍사스주의 독립적 전력망도 화근이었다. 그래서 거실 액자를 부숴 불을 때는 가구까지 생겼다. 오스틴의 삼성 반도체공장 등은 가동을 멈췄다. 과학을 무시한 채 재생에너지를 맹신하다 '그린 버블'이 터져버린 셈이다.

우리 내부에도 '녹색거품'이 도처에 깔려 있는 듯하다. 문재인정부는 출범 후 태양광 진흥에 '올인'했다. 하지만 태양광은 70%가 산지인 한국의 좁은 국토와는 궁합이 잘 맞지 않았다. 태양광 시장이 정부 보조금을 빼먹는 86운동권의 놀이터가 됐다는 소문만 무성했지만 발전비중 증가폭은 미미했다. 산사태나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잇단 화재에서 보듯 태양광의 본원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결과였다.

임기 말 문 정부는 연초부터 해상풍력으로 눈을 돌렸다. 부지를 과다 점유하는 신재생발전의 단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는 그 나름대로 합리적 선택으로 비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월 48조원을 들일 계획인 전남 신안 해상풍력투자협약식에서 "가슴 뛰는 프로젝트"라고 했다. 그러나 한 에너지 전문가는 "가슴이 철렁했다"고 했다. 발전 설비용량과 실제 발전량을 구분 못한 장밋빛 환상에 놀랐다는 뜻이다.

풍력 세계 최강국 덴마크는 바람으로 전체 전력의 46%를 생산한다. 그러나 백업용 석탄발전 비중은 22%에 이른다. 그래도 모자라는 전력은 원전과 수력이 대종인 스웨덴에서 수입해 쓴다. 최적의 바람(연평균 풍속 10~11m/s 이상)이 부는 북해를 이용하는데도 풍력의 효율은 50%에 그친다. 한국은 평균 풍속이 7m/s로 느린 데다 그나마 일정치도 않아 효율이 30%에도 못 미친다. 그런데도 해상풍력 5대 강국 운운하니 풍차를 보고 돌진하는 돈키호테식 큰소리로 들리는 것이다.

중국도 우리 못잖게 태양광 진흥에 열심이다. 그러면서도 한반도 쪽 해안에 원전 여러 기를 짓고 있는 데다 산둥성 옌타이 앞바다에 해상원전까지 띄운다고 한다. 고리원전 등의 안전성을 빌미로 탈원전 깃발을 든 정부가 인천에서 겨우 400㎞ 떨어진 이 해상원전에 대해선 끽소리도 않고 있다.

이는 애초 문 정부의 과속 탈원전이 비과학적이었다는 말이다.
4차 산업혁명기엔 '에너지 안보'가 더 긴요하다. 그렇다면 '기승전·재생에너지'식 무모한 발상을 접고 에너지원별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최소화하는 게 합리적이다.
그야말로 "화이부동의 에너지 믹스, 에너지 균형화"(조환익 전 한전 사장)가 절실하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