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

한국판 ‘백신여권’, 블록체인랩스가 구축해 정부에 기부한다

이설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4.05 17:43

수정 2021.04.06 11:07

질병청, 시스템 구축 사업자 선정
"민간사업자들에게는 정보 못 줘
백신여권 사업 질병청 직접 진행"
이달 공개되는 블록체인 기반 한국판 '백신여권'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기업 블록체인랩스가 구축해 정부에 기부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로 인해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백신여권 구축 비용을 2000만원 이하로 절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안사항 충족...기술 무료제공"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4월 중후반부터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될 블록체인 기반 백신접종증명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 블록체인랩스가 구축하기로 했다. 질병청 관계자는 "블록체인랩스가 민감 개인정보 관련 보안 사항을 준수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업자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블록체인랩스가 구축하는 블록체인 기반 백신접종증명 시스템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형태로 코로나19 백신접종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코로나19 검사 음성 사실 및 백신접종을 증명해 장기적으로 해외 여행 시에도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편의상 '백신여권'이라고 부른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달 중 스마트폰에서 손쉽게 백신 접종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그린패스'를 공식 개통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어 "블록체인을 이용해 위·변조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고 개인정보는 보관하지 않도록 했다"며 "국제적 백신 여권 도입 논의에도 적극 참여해 국민들이 편리하게 국내외를 오갈 수 있도록 미리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질병청이 백신여권 사업자로 선정한 블록체인랩스는 지난 2016년 설립돼 공공기관 및 기업 등이 자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 '인프라블록체인'을 특허 출원했다.

지난 해 8월 경북도 규제특구 의료용 대마 유통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공급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9월에는 서울시 혁신챌린지 캠핑카 공유 개발 사업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공급한 바 있다.

■"백신접종 정보, 민간 제공 어렵다"

한편 질병청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기록은 민감자료이기 때문에 정보를 민간사업자에게 공개할 수 없다"며 "이 때문에 백신여권 사업은 질병청이 직접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에서 사용되는 백신앱은 질병청이 제공하는 것이 유일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현재로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그동안 민간 사업자들이 추진해 온 코로나19 백신여권 서비스에는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질병청으로부터 국민들의 백신접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할 경우 신뢰할 수 있는 백신여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민간 백신여권 사업에는 의료분야 블록체인 전문기업 메디블록이 자체 분산신원증명(DID) 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백신접종 이력 증명 서비스인 '백신패스' 출시를 예고한 바 있다.
메디블록은 질병관리청 및 연동 의료기관에 등록된 접종 내역 이력을 모바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었다.

또 한국인터넷진흥원도 민간 블록체인 기업들이 DID 기술을 활용해 질병청의 백신접정 정보를 연동하는 백신앱을 개발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확산사업을 기획, 이달 중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그러나 질병청이 백신접종 정보를 민간기업에 제공할 수 없다고 못박으면서 민간기업들의 백접여권 사업은 대대적인 변경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는게 업계의 관측이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