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LH 경남지역 298가구 중 절반 '공실'

전세형 공공매입임대주택 전환했지만 공실 많아
(출처=뉴시스/NEWSIS)
(출처=뉴시스/NEWSIS)
[창원=뉴시스] 김기진 기자 =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경남에 공급한 298가구 중 절반이 1년이 넘도록 빈 집으로 남아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일 LH경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신혼부부형'과 '청년형' 298가구를 '전세형 공공매입임대주택'으로 전환해 대상을 확대하고 있지만 164가구가 아직 빈 집이다.

LH는 소득 기준을 아예 없애는 등 조건을 완화했지만 오피스텔 공실률은 70%를 넘는다고 밝혔다.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 인근에 소재한 주거용 오피스텔은 약 70%가량이 1년 넘게 입주자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오피스텔은 신혼부부에게 시세의 70~80% 수준에 빌려주기 위해서 LH가 지난 2019년 12월 오피스텔 72가구를 130여억 원에 사들였지만 52가구가 빈 집으로 남아 있다.

기본관리비 12만 원이 쌓이는 등 이 오피스텔에 들어간 관리비만 연간 7000만 원에 달한다.

또 LH가 130억 원에 지난해 1월 사들인 김해의 또 다른 오피스텔도 70가구 가운데 53가구가 비었다.

인근 공인중개사 A(66)씨는 "신혼부부나 젊은 청년들이 값싼 빌라나 원룸 등 다가구를 선호할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며 "눈높이에 맞는 임대 조건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로 LH가 임대하는 이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54㎡, 복층 구조로 보증금 9200만 원에 관리비를 포함해 월세는 18만 원으로 이 돈이면 주위 아파트 전세도 가능하다.

LH경남지역본부 관계자는 "오피스텔이 신혼부부가 살기에는 좀 불편한 부분이 있었던 거 같아 선호를 하지 않은 것으로도 보이지만 위치가 시내권이라 나쁘지가 않고 최신 건물이라 공실은 점점 줄어들거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실 부분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협력해 수요를 맞추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전세대책)'과 관련해 올해 최초로 공급하는 '공공 전세주택' 현장을 지난달 14일 공개했다.

지난달 19일부터 입주자를 모집하는 '공공전세주택'은 공공주택사업자가 도심 내 면적이 넓고 생활환경이 쾌적한 다세대·다가구, 오피스텔 등 신축주택을 매입해 중산층 가구에게 한시적으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기존에 공급하던 '전세형공공임대' 주택은 임대료가 있는 반면 '공공전세주택'은 임대료 없이 100% 전세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고객 수요에 맞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서울 3000가구, 경기·인천 3500가구 등 총 9000가구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