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은 "작년 실업률 4.0%…2005년 이후 추세적 영향이 상당 부분"

뉴스1

입력 2021.05.02 12:01

수정 2021.05.02 12:01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실업급여 신청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1.4.22/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실업급여 신청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1.4.22/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김성은 기자 = 지난해 실업률이 4.0%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배경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적 요인 외에도 2005년 이후 이어진 실업률의 추세적 상승 영향이 상당 부분(3.9%)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일 '조사통계월보-고용상태 간 노동이동 분석을 통한 실업률 분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고용 상황이 악화한 가운데 연평균 실업률은 4.0%로 2001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2020년 평균 실업률 4.0% 가운데 추세적인 영향이 3.9%로, 과거 고(高)실업률 시기인 2005년과 2010년의 추세 실업률 대비 각각 0.5%p, 0.3%p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금융위기 이후 실업률의 추세적 상승은 실업으로의 노동 유입보다 취업 상태로의 노동이동이 지속해서 줄어든 데 주로 기인한다는 것이다. 한은은 실업→취업, 비경제 활동인구→취업으로의 전환율 추세가 금융위기 이후 상당폭 하락하면서 실업률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융위기 이후 자동화 등 산업구조 변화,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신생기업 감소 등으로 고용 창출 능력이 약화하고 고학력화 등에 따른 청년층 구직활동 장기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으로 노동 공급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 실업률의 순환변동과 경기순환과의 상관관계는 크게 약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금융위기 이전 경기침체기에는 실업으로의 유입이 상당폭 상승했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경기침체기에도 하락하거나 횡보했다.


한은은 은퇴 세대의 노동시장 잔류, 제조업 자동화, 노동 집약 부문의 해외 이전, 정부의 직접 고용정책 강화, 경직적 노동시장 등이 실업률과 경기변동 간 관계 약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