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금리 올리자니 가계대출 이자 부담, 동결하자니 인플레 우려… 고민 깊은 한은

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5.11 18:40

수정 2021.05.11 18:40

27일 금통위에 쏠린 눈
금리인상 시사 여부 주목
시장금리는 이미 오르는 중
발언 없더라도 시기 당겨질듯
인플레이션 상승 기대감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지를 둘러싸고 금융권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 발언 이후 미국 기대인플레이션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이달 열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결정이 주시된다. 가계부채 증가로 대출이자 부담은 높아지고 이미 시장금리는 상승한 상황에서 경기회복을 안착시킬 수 있는 금리정책 방향은 '진퇴양난'이라는 지적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13일 금통위 본회의를 연다. 지난 5일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금리인상을 시사한 발언을 한 이후 첫 금통위다. 이날 금통위원들은 금융시장 동향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오는 27일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방향이 결정된다. 본격적인 금리인상 가능성이 언급될지가 관심이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즉각적인 금리인상을 시사하기에는 이르다는 게 중론이지만 금리인상 시기는 앞당겨질 것이라는 예상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회복과 인플레 상황에서 금리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실제로 10일(현지시간) 미국의 5년 기대인플레이션율(BEI)은 2011년 4월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보다 2.3% 상승하며 2%를 훌쩍 넘었다. 전년동월 대비로 지난 2017년 8월 이후 3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금통위원들의 발언이 주시되는 시점인 셈.

앞서 지난달 금통위에서는 금통위원 만장일치 의견으로 금리 동결을 결정했지만 이번 금통위에서는 어느 정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나온다. 지난 4일 공개한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에서 금통위원 일부는 금리정책에 대한 변화 가능성을 조심스레 언급했다. 한국은 미국보다 앞서 금리를 인상해왔고 미국보다 금리가 높은 상태로 유지돼온 점을 감안하면 금리인상이 가시화됐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금리인상을 둘러싼 우려는 적지 않다. 코로나19 정책 대응으로 가계부채가 불어난 상황에서 대출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코로나 이후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시중은행들은 금리를 올리면서 시장금리는 상승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3월 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2.88%로 전달 2.81%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들어서도 국고채 금리와 금융채 금리 등이 오르면서 금리 상승이 지속되는 모양새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실상 시장금리를 중심으로 금리가 오르면서 저금리 상황에서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경우 금리 부담이 높아질 수 있고, 주식시장에 몰린 자금이 은행으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택가격 등 부동산시장 동향도 주시된다"며 "가계부담을 줄이면서도 경기회복과 물가상승 등 내수가 회복되는 시점에서 적절한 금리인상 시기를 고려해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