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폭락 상황에서 120억 달러 유동화
연이은 '마진콜' 시장 폭락·거래소 정지 원인
가상자산 대출도 문제·당국 규제 앞당길 것
연이은 '마진콜' 시장 폭락·거래소 정지 원인
가상자산 대출도 문제·당국 규제 앞당길 것

[파이낸셜뉴스] 투자자들의 과도한 레버리지와 대출이 일시에 청산된 것이 최근 가상자산 시장 폭락의 원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중국의 규제 발표나 일론 머스크의 돌출 트윗보다 더 큰 영향을 줬다는 지적이다.
26일 CNBC는 가상자산 통계 전문업체 바이비티(bybt)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주 가상자산 시장 폭락 상황에서 약 120억달러(13조4592억원)의 가상자산이 유동화됐다고 보도했다.
연이은 '마진콜' 시장 폭락·거래소 정지 원인돼
CNBC는 투자자들은 강세장이 예상될 때 더 많은 수익을 내기 위해 중개소 등으로부터 가상자산을 빌려 투자한다고 보도했다. 이것이 레버리지다.
자산 관리 회사 BKCM의 최고경영자 브라이언 켈리는 "군중효과 때문에 자산이 유동화되는 가격은 다른 사람과 비슷한 경향이 있다"며 "한 사람에게 마진콜이 들어올 때 모든 투자자들에게 자동 매도 요청이 들어오고, 결국 가격은 폭락한다"고 분석했다. 레버리지 물량이 한꺼번에 청산되며 시장이 수시간내에 30% 이상 급락하고 주요 거래소가 정지되는 사고가 났다는 것이다.
CNBC는 과도한 레버리지를 제공한 곳으로 아시아의 비트맥스(BitMEX)를 지적했다. 무려 100대 1의 레버리지를 허용했다는 것이다. 즉, 1BTC를 담보로 제공하고 100BTC를 빌려 투자할 수 있는데, 이 경우 1%만 예상과 다르게 시장이 움직여도 담보물의 가치가 '0'이 된다.

'규제 사각지대' 대출 시장 급성장도 문제
폭락을 야기한 또다른 배경은 비트코인 대출 시장의 성장이라고 CNBC는 보도했다. 블록파이(BlockFi) 셀시우스(Celsius) 같은 회사들은 가상자산 소유자에게 6~8%의 이자로 예금을 받아 이 돈을 헤지펀드나 전문 투자자에게 빌려줬다. 또 비트코인을 대출 담보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비트코인을 담보로 100만 달러를 빌리고, 가격이 30% 떨어지면, 대출금이 30% 늘어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가상자산 시장이 당국의 통제를 벗어나 있다보니 과도한 레버리지나 대출 관행에 대한 규제도 없었다고 CNBC는 분석했다. 결국 가상자산을 사용하는 곳이 늘어나며 워싱턴의 타깃이 돼 재무부가 1만달러 이상의 가상자산 거래는 세금당국에 보고해야 한다고 발표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브라이언 켈리는 이번과 같은 폭락장이 정부 당국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승인을 앞당길 수 있다고 봤다. 그는 "가상화폐 시장은 다른 전통적인 시장과 같은 안전장치가 없다"며 "규제가 도입된다면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승인으로 보여질 수 있고 디지털 자산에 긍정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bawu@fnnews.com 정영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