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블록체인, 경제 혁신 신기술..국가별 최적화 솔루션 필요"

정영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6.14 13:44

수정 2021.06.14 13:44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담당관 인터뷰
"빈곤 퇴치에 블록체인이 큰 역할"
"각국 기술·규제 수준에 맞는 솔루션 필요"
"개인정보·자금세탁 등 도전 극복 과제"
[파이낸셜뉴스] "블록체인은 기존의 경제·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킬 흥미로운 신기술 입니다. 기존 경제 시스템의 거래 비용을 크게 절감해 새 시장을 개척할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

세계은행은 블록체인 기술을 경제시스템에 적용하는데 가장 적극적인 국제기구 중 하나다. 지난 2018년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채권 본드아이(Bond-i)를 발행해 각국 중앙은행들이 블록체인 채권 도입을 검토할 때 가장 먼저 찾는 사례를 만들기도 했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는 최근 동아태지역 혁신과 기술 연구소(East Asia and Pacific Regional Innovation and Technology Lab)를 설립하고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과 확장을 통해 세계은행 프로젝트와 회원국 지원에 본격 나섰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박진희 이노베이션&테크놀로지 담당관과 이수향 금융부문 담당관은 14일 파이낸셜뉴스 블록포스트와 인터뷰에서 "블록체인은 금융과 에너지, 공급망, 지적재산권 관리, 공공 부문 등 다양한 산업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고 강조했다.


세계은행, 빈곤 퇴치에 블록체인이 큰 역할


블록체인 기술에 적극적인 국제기구를 찾자면 가장 먼저 손꼽히는 기구가 세계은행이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역시 마찬가지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는 최근 동아태지역 혁신과 기술 연구소를 설립하고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과 확장을 통해 세계은행 프로젝트와 회원국을 지원한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박진희 이노베이션&테크놀로지 담당관(왼쪽)과 이수향 금융부문 담당관으로부터 세계은행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의 블록체인 정책에 대해 들어봤다./사진=fnDB
블록체인 기술에 적극적인 국제기구를 찾자면 가장 먼저 손꼽히는 기구가 세계은행이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역시 마찬가지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는 최근 동아태지역 혁신과 기술 연구소를 설립하고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과 확장을 통해 세계은행 프로젝트와 회원국을 지원한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박진희 이노베이션&테크놀로지 담당관(왼쪽)과 이수향 금융부문 담당관으로부터 세계은행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의 블록체인 정책에 대해 들어봤다./사진=fnDB

세계은행은 설립 목표인 세계 빈곤 퇴치와 공동 번영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개발도상국 지원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이다. 케냐 근로자들을 위한 '마이크로 연금'이 대표적이다. 금융산업이 빈약한 케냐의 특성상 근로자들이 연금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대리인을 이용해야 했다. 그만큼 등록절차가 복잡했고 비용도 많이 들었다.

세계은행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케냐 연금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박진희 이수향 담당관은 "블록체인을 포함한 신기술 기반 솔루션들은 교육과 보건, 토지, 공급망, 수도시설, 융포용, 기후변화, 농업, 노동 이동 등 다양한 분야에 향상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각국 기술·규제 수준에 맞는 솔루션 필요

우리 정부는 2017년부터 투기과열 진정을 기조로 가상자산 정책을 펼쳐왔지만 사실상 가상자산을 방치해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 가상자산 TF를 이끌고 있는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사진=뉴스1
우리 정부는 2017년부터 투기과열 진정을 기조로 가상자산 정책을 펼쳐왔지만 사실상 가상자산을 방치해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 가상자산 TF를 이끌고 있는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사진=뉴스1

세계은행은 개도국에게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각 국의 기술적 발전 수준이나 규제 측면에서 리스크를 이해하는데도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은 "혁신적인 기술 기반 솔루션을 도입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디지털 준비 정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와 인프라, 숙련된 노동자 등 여러 요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극단적으로 인터넷 연결이 미흡할 정도로 IT인프라가 부족하면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솔루션 운영에 장애가 된다. IT 전문 인력의 부족 또한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사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섣불리 블록체인 기술 기반 사업을 도입했다가 회원국이 수혜를 입기는커녕 막대한 비용만 초래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두 사람은 "블록체인 활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과 이의 적용 가능성, 설계 원리, 국가 디지털 인프라 보안 등을 이해하는 데는 국가간 격차가 존재한다"며 "세계은행이 회원국에게 자문하거나 혁신적인 기술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설계할 때에는 전제조건 및 인프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해당 분야 전문가와 협업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나 자금세탁 방지 등 기존 규제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두 사람은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잊혀질 권리, 데이터 해킹이나 보안 문제 등은 블록체인의 익명성을 넘어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bawu@fnnews.com 정영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