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코로나19 충격…국내 제조업 부실위험 기업 급증 '155→211개'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6.06 14:33

수정 2021.06.06 14:40

산업별 한계기업 비중(2019년 기준) /사진=fnDB
산업별 한계기업 비중(2019년 기준) /사진=fnDB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충격으로 지난해 국내 제조업 상장기업 중 한계기업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부실화 우려가 커짐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우리 경제 회복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한계기업 징후(이자보상배율 1 미만)가 나타난 제조업 상장기업은 211개로 직전 5년간 연평균 약 155개 대비 약 36.1%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번 돈으로 이자 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단기 부실 위험에 노출된 기업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국내 제조업 부문에선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이미 한계기업이 늘어나고 있었다. 한계기업은 업력 5년 이상의 기업 중 3년 이상 이자보상배율 1미만인 기업이다.
금융위기 이후 2011년 국내 제조업 부문 외부감사 대상 기업(외감기업)의 약 5.0%를 기록한 한계기업 비중은 2019년 약 11.9% 수준까지 계속해서 증가했다.

특히 최근에는 한계기업이 정상화되거나 사업 전환 또는 시장 퇴출로 이어지지 않음으로써, 여전히 시장에 남아 있는 '장기한계기업' 증가가 심화했다. 9년 이상 한계기업 상태로 존속 중인 장기한계기업은 2009년 약 34(6.5%)에서 2019년 164개(11.2%)로 증가했다. 장기한계기업은 외부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 코로나19 발생 이전 장기한계기업의 평균 부채비율 및 차입금 의존도는 각각 818.3%와 58.6%로 한계기업의 789.7%와 54.4% 대비 높은 수준이다.

세부 산업별로 한계기업은 특정 산업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됐고, 소규모의 오래된 기업으로 낮은 수익성과 높은 타인자본 의존도를 보이는 경우 한계기업 가능성이 높았다.

한계기업 비중은 조선·철도·항공 등 관련 제조업(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이 2019년 기준 25.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 21.1%, 섬유제조업 18.1% 순으로 나타났다. 9년 이상 장기한계기업 비중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이 약 6.2%로 가장 높고, 기타제품 제조업 3.3%, 섬유제조업 2.9% 순이다.

코로나19로 부실 조짐을 보이는 기업이 급증함에 따라 향후 이들 중 일부가 한계기업으로 전환될 압력 커지고 있다. 한계기업 증가와 장기화는 비효율적 자원배분과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력 저하를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

보고서는 "기업 정상화는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에 필수적"이라면서 "산업별로 세밀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효과적인 자원 배분을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시 규모와 산업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금융지원정책을 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상화를 위한 기업의 자구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인건비 비중 감소, 비핵심자산 매각, 영업 관련 자산 증대 등 자산 구성을 적극적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