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균' 수능 3개 영역 2등급→3등급으로 인하
"일부 수도권 대학 신청 반려…재수생과 형평성 문제"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코로나19 고려해 평가하기로"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3 학생들이 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6월 모의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문이과 통합형으로 개편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첫 모의평가에 지원한 수험생은 48만 2899명으로 재학생이 86.1%인 41만 5794명, 졸업생 등은 13.9%인 6만 7105명이다. (공동취재사진) 2021.06.03. photo@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1/06/09/202106091305114311_l.jpg)
[서울=뉴시스]김정현 기자 =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고3 재학생을 구제하기 위해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한 대학이 올해도 나왔다. 총 56개교로 지난해 101개교보다 규모가 다소 줄었다.
서울대와 서강대, 중앙대는 고3 재학생만 응시 가능한 수시 전형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코로나19와 관련해 교육부의 2022학년도 대입 관리 방향 등을 고려,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에서 대입전형 변경 신청을 승인했다고 9일 밝혔다.
대교협은 전형 요소와 반영 비율을 직접 바꾸겠다는 신청은 승인하지 않았다.
서울대, 서강대, 중앙대 서울·안성 4개교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는 방안을 승인받았다. 고3 재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이런 사례는 지난해엔 서울대만이 유일했다.
서울대는 올해도 각 고교별 재학생만 지원 가능한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했다. 기존 4개 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2등급'을 '3등급'으로 내렸다. 탐구영역은 2개 과목 모두 3등급 이내를 맞으면 돼 기존 '2개 과목 합이 4등급 이내'보다 수월해졌다.
서강대는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고교장추천전형에서 수능 4개 영역 중 3개 영역에서 각각 3등급 이내를 충족하면 된다. 당초엔 3개 영역의 등급 합이 6등급 이내였다.
중앙대는 중간·기말고사 성적 등으로 평가하는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지역균형전형에서 최저학력기준을 변경했다. 인문계열 학과는 수능 4개 영역 중 3개 영역 합을 6등급 이내에서 7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서울캠퍼스 약학부를 제외한 서울·안성캠퍼스 자연계열 학과의 같은 전형에선 탐구 '2과목 평균'을 '상위 1과목'으로 축소 반영한다.

각 대학은 코로나19로 수험생들의 대면 활동이 위축돼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이 어려웠던 점을 감안, 올해 학종에서도 이를 상황을 고려해 평가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열리지 못한 대회 참가 실적 등을 고려해 실기·실적 전형의 인정범위를 변경한 대학이 고려대, 연세대 등 22개교로 가장 많았다.
방역 차원에서 실기고사 종목이나 유형을 바꾸거나 축소한 대학은 명지대, 성신여대, 한양대 등 20개교였다. 실기고사는 특성상 수험생들이 같은 공간에서 밀집하기 쉬운데다 비말이 확산해 감염 우려가 높아서다.
연세대, 한양대, 홍익대 등 17개교는 방역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면접고사를 빼는 등 전형 단계를 축소했다. 한 예로 홍익대는 미술계열 재외국민 특별전형에서 면접고사를 생략하고 서류전형으로만 뽑기로 했다.
지난해엔 논술·면접·실기 등 대학별고사 일정을 1~2일씩 늘려 응시생을 분산하겠다는 방식의 변경이 가장 많았지만, 올해는 단국대, 한양대 등 7개교로 줄었다. 대학들이 지난해 사례를 고려해 이미 계획에 이를 반영했기 떄문으로 풀이된다.
대교협 승인사항 외에도 각 대학은 면접 등 대학별 고사를 비대면으로 자체 전환할 수 있다. 대교협은 대학들이 적어도 한 달 전까지는 수험생에게 이를 안내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수험생들은 각 대학이 확정 공고한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살펴야 대학별고사 일정 중복 등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adiga.kr)와 각 대학 입학처(본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