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식재산 보호 컨퍼런스] IP금융, 디지털경제 혁신성장 견인차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6.10 13:50

수정 2021.06.10 13:50

최원진 신용보증기금 IP금융센터 과장(변리사)
'국내 IP 금융의 현황 및 과제' 주제강연
제11회 국제지식재산보호 컨퍼런스가 10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렸다. 최원진 신용보증기금 지식재산금융센터 과장(변리사)가 강연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제11회 국제지식재산보호 컨퍼런스가 10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렸다. 최원진 신용보증기금 지식재산금융센터 과장(변리사)가 강연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지식재산(IP) 금융은 개인과 기업의 혁신을 유도하고 우리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할 것이다."
최원진 신용보증기금 IP금융센터 과장(변리사)은 10일 파이낸셜뉴스 주최로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1회 국제지식재산보호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과장은 이날 '국내 IP 금융의 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IP 금융이란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저작권 등과 같은 IP를 이용해 자금을 융통하는 금융활동을 말한다.

최 과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IP가 국가와 기업경쟁력을 좌우한다"면서 IP 금융 활성화를 강조했다.

그는 "국내는 유형자산과 신용도에 기초한 금융관행 탓에 기술집약적 혁신기업의 사업화 자금조달이 곤란하다"며 "IP는 재산권이며 기업성장에 따른 가치증가 효과가 있어서 담보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실제 미국 스탠더드 앤드 푸어(S&P)가 발표하는 S&P 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가치 중 무형자산 비중은 1975년 17%에서 1995년 68%, 2015년 84% 넘어서 지난해에는 90%까지 확대됐다.

특허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IP 금융 규모는 2016년 5774억원에서 2019년 1조3504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2조640억원으로 급성장했다.

최 과장은 "우리나라 창업 5년차 기업의 생존율은 28.5%에 그친다"며 "IP금융은 기업들이 이런 '죽음의 계곡'을 넘어설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IP 금융은 유형자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꼭 필요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IP 금융의 유형에는 보증대출(사업화 초기), 담보대출(사업화 및 매출발생 단계), 투자 유치(비상장 단계) 등이 있다. 유형에 따라 금융 규모와 협력기관 등이 각각 달라진다.

최근 IP 금융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분야는 담보대출이다.
2016년 202억원에 불과했던 IP 담보대출의 경우 지난해 1조930억원로 4년 만에 53배나 폭증해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최 과장은 "이전까지 신보는 IP 보증용 가치평가 위주로 IP 금융을 수행했다"며 "향후에는 IP 담보 및 IP 투자용 가치평가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IP 가치평가는 신보를 포함한 공공기관 11곳, 민간기관 9곳 등 총 20곳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