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김정숙 여사 "생물다양성 사라지는 지구서 인간만 안전할 수 없어"

김호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06 16:03

수정 2021.07.06 16:44

6일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 참석

[서천=뉴시스]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에서 열린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1.07.06. bluesod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서천=뉴시스]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에서 열린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1.07.06. bluesod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파이낸셜뉴스] 김정숙 여사는 6일 "생물다양성이 사라져 가는 지구에서 인간만이 안전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 여사는 이날 오후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에서 열린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 참석해 축사를 통해 "다음 멸종위기종은 인간"이라는 경고를 환기시키며 이같이 밝혔다.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은 밀수 적발 후 몰수되거나 불법사육 중 유기된 멸종위기동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뿐만 아니라 국내 생태계 교란을 막고 국민 안전과 보건을 지키기 위해 건립됐다.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에 대해 국제거래를 규제하고 서식지의 무작위 채취·포획으로부터 보호하자는 국제협약(CITES)에 따라 보호를 받는 종으로 현재 총 3만5801종이 지정·보호 중이다.


연면적 2162㎡ 규모인 보호시설의 건립으로 국립생태원이 지난 2014년 4월부터 보호해 온 국제적 멸종위기종 17종 60개체를 포함, 140여 종 580여 개체의 야생동물 수용이 가능해졌다. 밀수와 불법거래를 방지하고 야생동물과 인간의 공존 및 생명의 가치를 가르치는 교육시설로도 활용될 계획이다.

김 여사는 축사를 통해 "코로나19는 인류에게 우연히 일어난 일이 아니라 인류가 한 일들의 결과"라는 말을 인용하며 "바이러스는 지구 생태계라는 공동체의 안전망을 무너뜨리고 있는 인간에 대한 경고다. '지구라는 공동의 집'에서 공존하고 있는 다른 생물들이 안녕할 수 있도록 지구 생태계를 건강하게 돌보는 것이 건강한 인간계를 지키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라진 후에는 결코 살려낼 수 없는 생명들과 더불어 함께 사라지기보다, 함께 살아가는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일상의 실천에 나서자"고 당부했다.

[서천=뉴시스]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에서 열린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서 멸종위기동물을 위한 다짐이 담긴 선언문을 낭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07.06. bluesod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서천=뉴시스]김진아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6일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에서 열린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서 멸종위기동물을 위한 다짐이 담긴 선언문을 낭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07.06. bluesod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김 여사는 이날 생태시범학교인 서천 마동초등학교 어린이들과 야생동물과의 공존을 위한 교육 및 밀수 과정에서 몰수된 야생동물들의 생태놀이터 조성 활동에도 참여했다.

특히 '야생동물을 위한 우리의 다짐' 시간에는 "잠자리, 개미 등 작은 곤충도 함부로 해치지 않겠다", "희귀동물을 키우는 것은 동물학대이므로 희귀동물을 사지 않겠다", "나무를 많이 심어 지구온난화를 막겠다"는 어린이들의 다짐과 함께 "미래세대에게 빌려 쓰는 지구를 온전하게 반납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김 여사의 다짐이 이어졌다.

이어 어린이들과 함께, 태어난 지 3주 만에 밀수돼 이곳에서 자라고 있는 비단원숭이와 아프리카 수단에서 밀수된 사막여우 등의 사육공간을 찾아 이동로프 등 행동풍부화를 위한 놀이시설을 설치했다.


김 여사는 또 투명 유리창에 의한 조류 충돌 피해방지를 위해 조류 충돌 피해 발생 확률이 높은 투명 출입문에 '조류 충돌 방지 테이프'를 부착하면서,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실천을 약속했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