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현장클릭

[현장클릭] 대환대출플랫폼 기싸움에 소비자는 없다

김성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11 18:00

수정 2021.07.12 14:24

[현장클릭] 대환대출플랫폼 기싸움에 소비자는 없다
전세대출을 받기 위해 여의도의 한 시중은행 창구에 들렀다. 번호표를 뽑고 내 차례가 되자 재직증명서, 원천징수 등 각종 서류를 들이밀고 상담을 요청했다. 상담원은 주민등록등본이 빠져있다고 했다. 기자는 급히 여의도역의 간이 민원기기에서 등본을 뽑아 상담을 시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창구에서 얘기하는 금리는 미리 알아본 금리와 달랐다. 기자가 알아본 금리는 모든 조건을 다 갖췄을때 최상의 조건이라야 한다는 얘기였다.
아쉽지만 금리가 높더라도 심사를 넣어달라고 했다. 3일 안에 연락준다는 답을 받았다.

그날 저녁 10시쯤이 되자 카카오뱅크의 금리가 궁금했다. 스마트폰으로 예비심사를 하기까지 5분이 안걸렸다. 다음날 스마트폰 터치 몇번으로 카카오뱅크 대출을 받았다. 3년전 대출받은 경험이다. 서류준비, 대기시간 등이 사라져버린 인터넷은행 서비스는 굳이 비대면, 혁신 같은 거창한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소비자로서 제대로 대우 받았다는 만족감을 준다.

이제는 대출상품을 갈아탈지를 고민중이다. 대환대출 시장에 큰장이 서고 있어서다. 대다수 핀테크 업체들이 대출상품 비교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금융위원회도 올해 업무의 핵심 목표중 하나로 대환대출 플랫폼을 꼽고 있다.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등을 포함한 여러 대출 상품을 한곳에서 살펴 손쉽게 갈아타는 시장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10월께 대환대출플랫폼 서비스가 목표다. 발상은 이상적이지만 시작부터 삐걱대고 있다. 당국은 상반기부터 관련업계와 논의를 시작했지만 아직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플랫폼 주도권을 놓고 기존은행과 핀테크 업계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핀테크 주도형 플랫폼으로 가야 할지, 은행 주도형 플랫폼으로 가야 할지는 업계간 사활이 걸린 문제이기도 하다.
대출중계 수수료 문제도 기싸움이 심각하다. 은행 입장에선 좌판을 깔아놓은 핀테크 업체들때문에 고객을 뺏고 뺏기면서, 중개 수수료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업계의 주장에는 각자의 이득만 있고 소비자 배려는 부족하다. 대환대출 플랫폼을 만드는 가장 큰 목표가 무언지 명심한다면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지 않을까.

ksh@fnnews.com 김성환 기자
ksh@fnnews.com 김성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