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세 가지 현안' 중 하나도 안 받은 日…文, 도쿄올림픽 안 간다 [한·일 정상회담 '무산']

김호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19 18:42

수정 2021.07.19 21:20

과거사·원전 오염수·수출규제 성의있는 답변 기다렸지만 
가시적 성과 낼 수 없다 판단 日정부 '소마 발언' 유감 표명
靑 "적절한 후속 조치 취해야"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7.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7.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에 불참한다. 올림픽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도 최종 무산됐다.

우리 정부가 방일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성과 있는 정상회담'에 대한 양국 협의가 원만하지 않았고, 잇따라 터져나온 돌발 악재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경색된 한일 관계 개선은 더욱 요원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9일 "문재인 대통령은 도쿄올림픽 계기 방일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한일 양국 정부는 도쿄올림픽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양국 간 역사 현안에 대한 진전과 미래지향적 협력 방향에 대해 의미 있는 협의를 나누었다"며 "양측 간 협의는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어 상당한 이해의 접근은 있었지만 정상회담의 성과로 삼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며, 그밖의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청와대는 일본의 '성의 있는 답변'을 촉구하며 마지막까지 방일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박 수석은 이날 아침 라디오 인터뷰에서도 "마지막까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열린 자세로 임하고 있다는 태도에는 변화가 없다"며 "우리가 일본을 대하는 선의, 미래지향적 태도와 똑같은 생각으로 일본이 그런 선의와 그런 태도로 임해주기를 저희는 기다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까지 문 대통령의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선의의 노력에 대한 일본 측의 성의 있는 답변이 온다면 참석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 놓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본 측으로부터 기대했던 답변을 받지 못했고 방일계획 철회로 최종 결론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그동안 △위안부·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 △원전 오염수 방출 △수출규제 등 양국 관계를 악화시킨 핵심 현안과 관련해 정상회담을 통한 가시적인 성과 도출을 주장해 왔지만 양측은 좀처럼 만족할 만한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조금씩 진전은 있었다"면서도 "양국 현안을 전반적으로 협의했고, 궁극적인 목표는 관계 복원이었으나 아직 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았다"고 협의 결과를 설명했다.

정상회담 협의 과정에서 터져나온 돌발 악재도 부담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이 올해 방위백서에서 다시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데 이어 주한 일본대사관 소마 히로히사 총괄공사가 문 대통령의 한일 관계 개선 노력을 폄훼하고 부적절한 성적 표현을 사용한 사실이 알려져 파문을 일으켰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용납하기 어려운 발언이었다"며 "국민 정서를 감안해야 했고, 이후 청와대 내부 분위기도 회의적으로 변화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소마 공사의 발언이 알려진 지 사흘 만인 이날 유감을 표명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할 것이며, 향후 이러한 불미스러운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방일에 대한 국내 반대 여론도 부담요소로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가 매일경제·MBN 의뢰로 지난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의 55.8%가 "한일 정상회담에서 성과를 거둘 수 없다면 문 대통령이 올림픽에 참석하지 않아야 한다"고 응답했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 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