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미 제약사들, 주정부와 오피오이드 진통제 소송 260억달러에 합의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22 07:38

수정 2021.07.22 07:38

[파이낸셜뉴스]
오피오이드계 진통제 하이드코돈. 미 제약사와 약품도매상들은 21일(현지시간)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 사태에 따른 법정 소송을 마무리짓기 위해 각 주정부에 260억달러를 내기로 합의했다. 로이터뉴스1
오피오이드계 진통제 하이드코돈. 미 제약사와 약품도매상들은 21일(현지시간)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 사태에 따른 법정 소송을 마무리짓기 위해 각 주정부에 260억달러를 내기로 합의했다. 로이터뉴스1

존슨앤드존슨(J&J) 등 미국 제약사들이 오피오이드(아편계) 진통제 사태에 관해 260억달러 배상금을 내기로 하고 미 각 주정부가 제기한 소송을 마무리짓기로 합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21일(이하 현지시간) 제약사 J&J와 미 3대 약품도매상인 매키슨, 아메리소스버겐, 카디널헬스 등이 2년여 협상 끝에 드디어 대규모 배상으로 문제를 봉합키로 합의했다.

오피오이드 진통제 남용은 미국에 심각한 마약중독을 불러 일으켰다.

초기에 중독성이 있다는 것을 몰랐던 의사들이 환자들에게 자주 처방했고, 이후 중독성이 밝혀진 뒤에도 일부에서는 돈벌이에 눈이 멀어 처방이 계속됐다.


지금도 금지 약품은 아니다. 통증이 극심한 말기 암환자 등에게 처방되고 있다.

J&J와 미 약품도매상들은 중독성 문제를 알고도 이를 은폐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진통제는 또 평범했던 이들을 불법 마약에 손 대게 만드는 '게이트' 역할을 해 더 이상 오피오이드를 처방받지 못한 이들이 헤로인(아편), 코카인, 메스암페타민(필로폰) 등에까지 손 대도록 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50만명이 오피오이드 남용으로 목숨을 잃었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각 주와 지방정부, 미 원주민, 병원 그룹, 기타 제약업체들로부터 3000여건에 달하는 소송이 제기됐다.

제약사들은 이 진통제를 필요한 수준을 넘어 훨씬 더 많이 사용되도록 압박했고, 약품도매상들과 약국들은 이 약들이 지역사회에 넘쳐나는 것을 막지 못했다는 점이 소송 쟁점이었다.

오피오이드 중독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더 악화했다.

미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오피오이드 남용에 따른 사망자 수가 2019년에 비해 약 37% 폭증했다.

업체들은 자신들이 의료상 필요한 약품이자, 연방 당국이 승인한 약품을 공급했다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엄청난 소송 부담 끝에 결국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이날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펜실베이니아, 뉴욕, 루이지애나, 델라웨어, 코네티컷 주 법무장관들은 합의가 끝났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날 합의로 3개 약품 도매상들은 앞으로 18년에 걸쳐 최대 210억달러를 배상하고, J&J는 이와 별도로 9년에 걸쳐 50억달러를 각 공동체에 배상하게 된다.

각주는 제약사 등으로부터 받은 배상금을 일반 예산으로 전용할 수 없다. 1990년대 담배 업체들과 합의로 받은 2060억달러에도 같은 조건이 적용된 바 있다.

배상금 대부분은 오피오이드 중독 치료 프로그램, 교육 등에 투입된다.

오피오이드 중독자들 역시 이 돈을 직접 지원받지는 못한다.


원고측 변호인 가운데 한 명인 폴 겔러 변호사는 "이 돈은 재정적자를 메우거나, 도서관 등을 건설하는데 전용될 수 없다"고 못박았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