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검찰·법원

세월호 특검, 내달 10일 활동종료…증거조작 의혹 규명 총력

조상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25 09:07

수정 2021.07.25 09:07

이현주 4·16 세월호 참사 증거자료의 조작·편집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사진=뉴스1
이현주 4·16 세월호 참사 증거자료의 조작·편집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세월호 특검의 활동이 다음 달 10일 종료되는 가운데 특검이 의혹 규명의 핵심인 세월호 DVR(폐쇄회로TV 저장장치) 포렌식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현주 특별검사팀은 지난 5월 출범 직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세월호의 블랙박스 격인 DVR 하드디스크 원본의 감정을 의뢰했다. 세월호 DVR 자료를 추출, DVR 조작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러나 국과수는 바다에 빠졌던 것을 건져낸 DVR이 몇 차례 포렌식을 진행하면서 이미 많이 손상된 상태라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국과수는 DVR 포렌식을 무리하게 진행하면 DVR 하드디스크가 완전히 망가질 수 있어 포렌식을 진행할 수 없다는 의견을 최근 특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특검은 DVR을 다른 기관이나 사설 업체에 맡겨 데이터 추출을 강행할지 여부를 놓고 고심 중이다.


특검은 만약 포렌식을 진행하지 못한다면 2014년 법원에 제출된 DVR 자료를 토대로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해군과 해양경찰은 세월호 참사 두 달 만에 세월호 DVR을 인양했으며,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는 당시 법원에 증거보전을 신청, DVR 포렌식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다만 이 경우 특검이 새로 DVR 포렌식을 진행해 과거에 발견하지 못했던 단서를 찾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특검은 DVR 포렌식 작업 외에도 해군과 해경, 대통령기록관, 해양수산부 등을 압수수색 해 확보한 자료 등을 바탕으로 증거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지난 5월 13일 출범한 세월호 특검은 이달 11일 활동 종료 예정이었지만, 한 차례 수사 기간을 연장해 8월 10일까지 수사를 진행한다.


특검은 활동 종료까지 20일도 남지 않아 자료 검토와 참고인 조사 등을 통해 증거 조작 의혹을 밝히는 작업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mountjo@fnnews.com 조상희 기자

fnSurvey